경제·금융 은행

은행 신규 주담대 70~90%는 고정금리

국내외 금리인상 지속 전망

변동과 금리차 역전 영향도

서울의 한 시중 은행에 붙은 주택담보대출 상품 홍보 현수막의 모습. 연합뉴스서울의 한 시중 은행에 붙은 주택담보대출 상품 홍보 현수막의 모습. 연합뉴스





주요 시중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10명 중 7명 이상이 고정금리 상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외 금리 인상 기조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데다가 변동형 상품 금리가 고정(혼합)형 상품보다 높은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지난달 신규 주담대의 약 90%가 고정금리를 조건으로 이뤄졌다. 다른 은행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신한은행의 고정금리 주담대 비중은 9월 67%에 이어 10월에는 70%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됐다. NH농협은행 역시 최근 실행되는 주담대의 대부분은 고정금리라고 전했다.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고객들이 많아진 데는 변동금리와의 금리 차이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장기물 채권과 연동된 고정금리는 미래 불확실성 탓에 변동금리보다 높다. 그러나 11일 기준 KB·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코픽스 기준)는 연 5.180∼7.711%, 고정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5.300∼7.273%로 집계됐다. 주담대 고정금리의 하단이 변동금리보다 0.12%포인트 높고 상단은 오히려 0.438%포인트 낮은 것이다. 은행 중에는 변동금리의 상단(7.711%)과 하단(6.411%)이 모두 고정금리(7.273%·5.973%)를 넘어선 곳도 있다.

은행권에서는 주담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역전 현상을 두고 코픽스가 급격히 뛴 데 따른 것으로 분석하는 시각도 있다. 주담대 변동금리의 지표가 되는 코픽스가 한 달에 한번 바뀌면서 매일 시장 상황에 따라 바뀌는 금융채 금리와 달리 급격히 뛸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은행들이 주담대 고정금리에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내년에도 상당 기간 금리가 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고정금리를 찾는 고객들이 늘었다”며 “금융 당국에서도 고정금리 대출을 독려하면서 은행들이 고정금리를 낮춰주고 있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