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제2금융

저축은행 "조달비 늘고 고객 이탈"…대환대출 플랫폼 참여 4분의 1 그쳐

전국 79곳 중 20여곳 '검토중'

카드·캐피털 등 여전사도 꺼려

대형 은행 쏠림현상 심화 우려

서울 시내 은행에 걸려있는 대출 안내 현수막 모습. 연합뉴스서울 시내 은행에 걸려있는 대출 안내 현수막 모습. 연합뉴스




정부와 금융권이 함께 추진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하는 저축은행이 20곳이 채 안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5월 플랫폼을 내놓기 위해 추진 속도를 붙이고 있지만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금리 상승으로 수신금리가 올라가면서 자금 조달 비용이 급증한 상황에서 대환 플랫폼으로 고객 이탈이 심화될 경우 부담이 급격하게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13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내년 5월 출범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를 검토하고 있는 저축은행은 현재까지 20여 곳인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 79곳의 저축은행이 영업 중인 점을 고려하면 4분의 1정도에 불과하다. 신용대출을 많이 취급하는 저축은행들이 그나마 참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축은행들이 대환대출 플랫폼 참여를 주저하는 것은 대환대출이 활성화되면 저축은행들의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금리 인상으로 예금금리 인상 경쟁이 심화되면서 조금이라도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은행으로 자금이 옮겨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저축은행이 안정적으로 수신 자금을 관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출 고객 이탈까지 많아지면 갑작스럽게 대규모 자금이 필요할 수 있고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 저축은행들은 수신금리를 더 높여 자금을 확보해 둬야 하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간 양극화가 더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대환대출 플랫폼을 중금리 대출의 고객을 더 확보하는 채널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며 “중금리대출의 노하우, 경험이 많은 대형 저축은행은 기회가 되겠지만 중소형 저축은행은 자산·이익의 격차가 더 심해질 수밖에 없다”고 언급했다.

카드·캐피털사 등 여신 전문 금융사 역시 비슷한 이유에서 대환대출 플랫폼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여전사들은 은행과 달리 예적금 등 수신 기능이 없어 채권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하는데 최근 단기금융시장이 불안정해지면서 채권금리가 크게 뛰었다. 실제로 3년 만기 여전채 금리(AA+ 기준)는 최근 6%대까지 치솟았는데 올 초(2.42%)와 비교하면 3%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높은 금리로 채권을 발행하는데 대출 고객마저 타 업권에 빼앗기게 될 경우 여전사는 영업 기반마저 잃을 가능성이 높다. 여전 업계의 한 관계자는 “내년 5월 가동되는 대환대출 플랫폼에서 실제 핵심은 신용대출의 대환이 될 텐데 여전사 입장에서는 고객의 이탈을 막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업계가 전반적으로 사정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대환대출 플랫폼이 도입되는 데 대한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