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금융위, '온라인 대환대출 시스템' 시행…"고금리 이자 부담 경감 도움"

연내 대환대출 시스템 구축…내년 5월 운영 예정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 전후. 금융위대환대출 인프라 구축 전후. 금융위




내년 5월부터 금융회사별 대출금리를 비교해 낮은 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온라인 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가 시행된다. 은행, 저축은행, 여전사의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을 온라인에서 비교할 수 있게 돼 금융소비자의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금융권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 추진 방안을 14일 발표했다.

관련기사



최근 금리 상승 영향으로 대환대출 등 금융 소비자의 이자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현재 대환대출이 취급되고 있지만 인프라가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아 소비자들의 참여는 저조한 상황이다. 대출 비교 플랫폼 10곳 중 대환대출 전용 상품을 취급하는 은행은 3곳 뿐이다. 특히 금융회사 간 온라인 시스템이 마련돼 있지 않다 보니 대환을 원하는 소비자들은 직접 영업점을 방문해 기존 대출 확인서류를 발급받아야 하는 등 불편함이 컸다.

이에 금융당국은 금융결제원 망을 통해 대환대출에 필요한 각종 상환절차를 완전 전산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시스템이 구축되면 금융회사들은 원리금 잔액 등 상환 금액이나 상환계좌, 대출약정금액 등 상환절차를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은행과 저축은행, 카드, 캐피탈사 등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소비자도 손쉽게 유리한 조건의 상품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아울러 금융위는 대출비교 플랫폼 운영주체를 확대하고 플랫폼에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대출정보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핀테크사 뿐만 아니라 금융사도 대출비교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기존 금융사의 경우 겸영업무 범위를 확대해 대출 비교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금융사와 협의해 대환대출시 발생하는 수수료 등 각종 대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예정이다. 다만 금융위는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 보호 문제 등에 대비해 플랫폼의 비교·추천 알고리즘 검증을 강화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플랫폼을 운영하게 된 금융사의 상품 공급이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이달 내 핀테크와 금융업권이 참여하는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연내 대출이동 시스템 구축에 착수해 내년 5월 중 대환대출 인프라가 운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