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건설현장 100곳 중 13곳 "PF發 위기에 중단·지연"

◆건설산업硏 보고서

'PF 미실행' 66%로 가장 영향 커

10곳 중 6곳 '공사 정상화' 비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가 계속되면서 일부 건설 현장에서 공사가 지연되거나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간한 ‘부동산PF 위기 원인 진단과 정책적 대응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10월 10~28일 전국 건설 업체 1만 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에 응답한 40개 업체의 사업장 233곳 중 31곳(13.3%)의 공사가 지연되거나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공사가 지연된 사업장은 22곳(9.4%), 중단된 사업장은 9곳(3.9%)이었다.



공사가 지연 혹은 중단된 주된 이유로는 ‘PF 미실행’이 꼽혔다. 15개 업체가 5개 항목에 대해 복수 응답을 한 결과 PF 미실행이 가장 많은 66.7%의 응답률을 차지했다. 이어 공사비 인상 거부(60.0%), 자재 수급 곤란(40.0%), 사업 시행자 부도(13.3%), 수분양자 청약 해지(13.3%) 등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공사가 지연 또는 중단된 사업장의 조기(1~2개월 내) 정상화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가장 많은 44%가 ‘매우 낮음’이라고 답했으며 이어 보통(28%)과 낮음(22%), 높음(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6%가 정상화 가능성이 낮다고 답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건설사의 자금 상황도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업체들의 총 도급 계약액은 8조 4934억 원이었으나 이 가운데 10%에 달하는 8007억 원은 공사가 진행됐으나 받지 못한 ‘기발생 미회수액’이었다. 자금 운영 현황을 묻는 데 대해서는 84%가 ‘크게 악화’나 ‘악화’됐다고 답했다. ‘변화 없음’이라고 답한 비율은 16.0%에 그쳤으며 ‘개선됐다’는 응답은 아예 없었다.

현 부동산PF 사업장의 위기 원인을 묻는 질문에는 ‘원자재 가격 상승(85.7%)’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금리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82.9%)와 분양수요 감소(77.1%), 금융기관 대출 축소(71.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김정주 건산연 경제금융연구실장은 “부동산 PF 시장에서의 부실 위험이 시공사의 부실 위험으로 전이되는 초기 단계인 것으로 판단된다”면서도 “도급계약액 대비 이미 발생한 미회수액의 비중이 작지 않고 최근의 상황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을 고려했을 때 시공사들의 상태가 안정적이라고 단정 짓기는 곤란하다”고 분석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