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덕수 총리, 10·29참사 희생자 명단 공개에 "깊은 유감"

"기본적인 절차인 유가족분들 동의 구하지 않아"

한덕수 국무총리가 15일 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이태원 사고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한덕수 국무총리가 15일 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이태원 사고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는 15일 한 온라인 매체가 '10·29참사' 희생자 명단을 공개한 것과 관련 "가장 기본적인 절차인 유가족분들의 동의조차 완전히 구하지 않고 공개한 점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한 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어제 한 온라인 매체가 돌아가신 분들의 명단을 공개했다"며 이같이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앞으로도 유가족분들과 다치신 분들의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이태원 참사로 다치신 분들 중 아직도 열 분이 병상에서 치료를 받고 계시다”며 “매우 안타까운 심정으로 복지부는 치료 과정에서 조금의 불편함도 없으시도록 꼼꼼히 살펴드리고 지원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 총리는 또 “희생자분들의 유실물을 보관하던 이태원 유실물센터의 운영이 13일부로 종료됐다”며 “남은 유실물 700여점은 용산경찰서에서 보관 중”이라고 전했다. 이어 “경찰청은 유가족이나 다치신 분들이 유실물을 꼭 찾아가실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두고 안내해 주시고, 전문가 등의 자문을 받아 유실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관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 총리는 “현장의 재난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투입인력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이 필수적”이라며 “기동대, 구급대원 등에 대한 대응훈련 기회를 늘리고, 전문성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행안부, 경찰청, 소방청 등 관계기관은 실전 훈련프로그램을 재점검해 보완하고, 기관간 현장 공조체계 마련 등 통합적 대응능력 강화방안을 강구해 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