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0·29참사 희생자 공개…외교가도 후폭풍

"희생자 발생 국가 대사관 항의"





온라인 매체(민들레·더탐사)의 10·29참사 희생자 명단 공개 후폭풍이 외교가에도 불어닥쳤다. 희생자 발생 국가 사망자가 발생한 국가의 주한대사관 한 곳이 공식 항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15일 기자들과 만나 “참사와 관련한 명단을 공개한 것에 대해 일부 대사관에서 항의를 표시해왔다”며 “이에 외교부는 (명단을 공개한)해당 매체에 항의와 시정 요구를 곧바로 전달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해당 대사관의 항의는)외국인 유족의 뜻이 반영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다만 (유족의 뜻을 반영하는)구체적인 절차와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해당 당국자는 “이태원 참사 초기부터 외국인 사망자 26명은 1명을 제외하고는 유족들이 사망자의 이름 등 신원 공개를 원하지 않았고, 특히 이중 8명의 유족들은 사망자의 국적 공개에 대해서도 철저히 비공개를 원한다는 뜻을 여러차례 밝혀왔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현지 매체에서 희생자 신상 등이 보도되는 데 대해선 “(시신 운구) 이후 사망자 유족들의 뜻을 일일이 확인하고 있진 않지만, 이런 (명단) 공개에 따라 일부가 유감 표시할 가능성이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날 기준 외국인 희생자 26명 중 24명이 국내 안치 또는 운구가 완료됐고 나머지 희생자도 이번주까지 운구 절차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강제징용 배상 해법과 관련해 해당 당국자는 "고위급, 실무급에서까지 주요 현안 해결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강화하겠다"며 "피해자뿐 아니라 최대한 많은 분들이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을 도출하고자 일본과 긴장감을 가지고 협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프놈펜 정상회담에서 강제징용 등 양국 현안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계속 협의해 나가자는데 의견을 모았지만, 양국의 입장이 구체적 접점을 찾아가고 있다는 신호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