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폭발사고 양구 안보전시관에 폭발위험물 더 있었다…2차, 3차 폭발참사 날 뻔

육군 16일 폭발사고 조사 결과

비활성화 안된 탄약류 추가 발견

지뢰, 고폭탄 등 최대 30년 방치

軍 전시관 등 탄약류 전시조사중

M-14 대인지뢰의 모습. 지난달 31일 강원도 양구군의 한 육군부대 병사들이 안보전시관 내 전시물 운반도 중 폭발방지를 위한 비활성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M-14대인지뢰를 밟아 폭발 사고가 났다. 사진출처=위키피디아M-14 대인지뢰의 모습. 지난달 31일 강원도 양구군의 한 육군부대 병사들이 안보전시관 내 전시물 운반도 중 폭발방지를 위한 비활성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M-14대인지뢰를 밟아 폭발 사고가 났다. 사진출처=위키피디아




강원도 양구 안보전시관에서 지난달말 폭발한 전시물(지뢰) 이외에도 폭발 방지용 ‘비활성화 조치’를 받지 않은 채 보관됐던 탄약류가 더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는 30년 가량이나 비활성화조치 없이 방치됐던 것으로 나타나 국군의 고질적인 안전관리소홀에 대한 엄중한 문책과 재발방지책 마련이 필요해보인다.



육군은 양구 전시물 폭발사고 이후 조사에 착수한 결과 이 같은 문제점을 발견했다고 16일 밝혔다. 전시관이 보유 중이던 고폭탄, 대인지뢰 등의 일부 물자가 안보전시관 물자 중 일부 대인지뢰와 고폭탄 등이 '비활성화' 조치를 완료하지 않은 채 전시됐다는 것이다. 만약 해당 물자들이 계속 방치된 채 있었다면 제 2, 제 3의 폭발사고로 이어질 뻔 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육군은 군 안팎의 안보전시관 및 역사관 등 전시시설에 비치된 탄약류를 전수조사 중이다. 비활성탄 조치를 받지 않았거나, 조사를 통해 모형탄이 아닌 탄 아닌 것으로 판정된 물자는 회수해 폐기 처분하고 있다고 육군은 설명했다.

이번 조사의 발단이 된 양구 전시관 폭발사고는 지난 10월 31일 양구 소재의 한 육군 부대 부대원들이 안보전시관에서 전시물 운반작업을 하던 와중에발생했다. 당국의 중간 조사 결과 이번 사고는 병사들이 안보전시관 리모델링을 위해 현장에 임시로 보관돼 있던 전시물자를 운반하다가 비활성화 조치가 제대로 되지 않은 ‘M14 대인지뢰’를 밟으면서 일어났다. 당시 폭발로 병사 2명이 중상을 입었다

육군 군사경찰은 민간 경찰과 공조해 이번 사건과 관련해 자세한 지뢰 폭발 경위를 조사 중이다. 또한 비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의 폭발물이 어떻게 전시된 채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들여다 보고 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