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재계 총수들, 빈 살만 차담회 장소 도착…협력 논의 본격 시작

빈 살만 왕세자, 윤 대통령 회담 후 호텔 복귀

오후 4시 20분 이후 총수들 속속 도착

'네옴시티' 등 협력 방안 논의 시작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7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 도착해 차량에서 내리고 있다. /유창욱 기자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7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 도착해 차량에서 내리고 있다. /유창욱 기자




17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와 주요 그룹 총수가 만날 시간이 다가오자 호텔 내·외부 경호 인력의 움직임이 분주해졌다. 사우디아라비아 국기 배지를 단 경호원은 취재진의 접근을 막으며 사진 촬영을 제지했다.



왕세자 일행이 머무른 롯데호텔 신관 출입구는 일반인의 왕래가 통제됐다. 로비 출입구 밖에는 큼직한 흰색 가림막까지 설치됐다. 왕세자를 비롯한 주요 인사가 차량을 타고 내릴 때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다. 가림막의 틈새를 막기 위해 병풍까지 세우는 등 사우디아라비아 측 관계자들은 왕세자의 모습이 노출되는 것을 극도로 꺼렸다.

17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 앞에 도착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의 차량이 가림막에 둘러쌓여 있다. /유창욱 기자17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 앞에 도착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의 차량이 가림막에 둘러쌓여 있다. /유창욱 기자



빈 살만 왕세자는 윤석열 대통령과의 회담을 마친 뒤 오후 3시 5분께 호텔로 복귀했다. 방탄복을 입은 경호원들이 소총으로 무장한 채 왕세자 일행을 앞뒤로 경호했다. 왕세자가 도착한 뒤 사우디아라비아 측 관계자들은 호텔에서 짐을 가져나와 트럭과 차량에 분주히 옮겨 싣기 시작했다. 이날 오후 5시로 예정된 국내 주요 기업인과의 차담회 이후 왕세자 일행이 곧바로 출국할 예정인 만큼 사전에 이동을 준비하려는 움직임이었다.

관련기사



가장 먼저 김동관 한화솔루션(009830) 부회장이 4시 22분 현장에 도착했다. 이후 도착한 박정원 두산(000150)그룹 회장은 A4 용지에 인쇄된 서류를 직접 들고 차량에서 내렸다.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회장과 최태원 SK(034730)그룹 회장은 각자의 차량을 타고 4시 30분 나란히 현장에 도착했다. 두 총수는 어떤 이야기를 나눌 예정인지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대답 없이 호텔로 들어갔다. 이후 이재현 CJ(001040) 회장, 정기선 HD현대(267250) 사장, 정의선 현대차(005380)그룹 회장 순서로 모든 총수가 회담 장소에 도착했다. 이해욱 DL(000210)그룹 회장도 초대받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공개된 통로로 들어가는 모습은 목격되지 않았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17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 도착해 차량에서 내리고 있다. /유창욱 기자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17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 도착해 차량에서 내리고 있다. /유창욱 기자


총수들은 코로나19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받은 뒤 빈 살만 왕세자와 차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애초 빈 살만 왕세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등 4개 그룹 총수를 만날 예정이었지만 이재현 CJ그룹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이해욱 DL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사장도 추가 초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에서는 이번 만남에서 사우디가 건설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신도시 ‘네옴시티’ 프로젝트 등 양국 간 협력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빈 살만 왕세자가 추진 중인 네옴시티 프로젝트는 사업 규모가 5000억 달러(약 660조 원)에 이른다. 이 프로젝트에는 건설·철도 등 교통망, 5세대(5G) 통신 등 인프라가 모두 포함된다.


유창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