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광주 역동구역 공공재개발 추진…2827호 공급 기대





경기도는 광주 역동구역을 공급량 일부를 임대주택으로 배정하는 ‘공공재개발’로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역동구역은 광주시 역동 141-6번지 일원 11만1000㎡ 규모에 주택 2821호를 공급할 계획이다. 기존 1051호 규모이던 광주 역동구역은 공공재개발 추진으로 2827세대 규모로 늘어난다.

관련기사



공공재개발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같은 공적 기관이 정비사업에 참여해 추진하는 재개발사업이다. 조합이 추진하는 민간재개발은 수천억 원의 사업비를 두고 조합원 간 의사결정 과정에서 갈등·소송이 일어나면서 구역 지정부터 착공까지 사업 기간이 평균 12년으로 장기화한다. 이런 사업 장기화는 사업비 대출이자 등 조합원의 부담을 늘린다.

반면 공공재개발은 용적률을 법적 한도의 1.2배까지 높여 조합원 분담금 부담을 낮추고 건축·교통 등 심의를 통합 처리해 사업 기간을 5년 이내로 단축하는 사업계획통합심의 체계 등이 주요 내용이다. 용적률이 늘어난 대신 공공에 기여하는 차원에서 전체 세대수의 10% 이상을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한다.

홍지선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공공재개발은 신속한 사업추진과 용적률 완화로 도민에게 더 빨리, 더 많이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며 “이주민과 세입자 등을 위한 공공임대주택도 확보해 주거 안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내 공공재개발 후보지는 광명 7구역, 고양 원당6·7, 화성 진안1-2구역, 광명 하안, 광주 역동(이상 경기도시주택공사 시행), 수원 고색, 광명 3구역(이상 한국토지주택공사 시행) 등 7곳이 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