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檢, '서해 공무원 피격' 서훈 前국가안보실장 소환 조사 中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기록 삭제·조작에 연루된 혐의를 받는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에 대한 피고발인 조사가 연기된 2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모습. 연합뉴스'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기록 삭제·조작에 연루된 혐의를 받는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에 대한 피고발인 조사가 연기된 2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모습. 연합뉴스




검찰이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수사와 관련해 문재인 정부의 대북안보라인 최고 책임자였던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을 24일 불러 조사 중이다. 서 전 실장은 전날 예정됐던 소환 조사가 불발된 지 하루 만에 검찰에 출석했다.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이희동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 서 전 실장을 피고발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 중이다.



서 전 실장은 해양수산부 공무원 고(故) 이대준 씨가 북한군에 피살된 이튿날인 2020년 9월 23일 오전 1시께 열린 관계장관회의에서 이씨의 '자진 월북'을 속단하고 이와 배치되는 기밀 첩보를 삭제하도록 관계부처에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관련기사



검찰은 국가안보실 지시에 따라 서욱 전 국방부 장관이 군사정보통합처리체계(MIMS·밈스)에서 감청 정보 등 기밀을 삭제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이날 서 전 실장을 상대로 이씨 사망 직후 자진 월북을 판단한 근거와 관련 부처에 기밀을 삭제토록 지시했는지, 이 과정에서 또 다른 '윗선'의 개입은 없었는지 등을 추궁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 전 실장은 그간 당시 상황을 모두 투명하게 밝혔으며, 근거 없이 이씨를 월북으로 몰거나 자료 삭제를 지시한 사실도 없다고 주장해왔다. 서 전 실장을 비롯한 문재인 정부 대북·안보라인을 담당했던 핵심 인사들은 지난달 27일 기자회견을 열어 "어떠한 근거도 제시하지 못하면서 (문재인 정부가) '월북몰이'를 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논리도 근거도 없는 마구잡이식 보복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당시 안보라인 의사 결정의 핵심인 서 전 실장을 소환한 검찰은 조만간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도 불러 조사한 뒤 이들의 구속 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박 전 원장 역시 국정원에 첩보 보고서 등을 삭제하라고 지시한 의혹을 받는다.


이진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