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HK이노엔 "케이캡, 경쟁 약물 대비 간 독성 위험률 낮아"

PPI 계열 대비 간 독성 위험 27% 가량 낮아

경쟁 약물 6종 대비 위험률 가장 낮은 수치

HK이노엔의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국산 30호 신약 케이캡 구강붕해정. 사진 제공=HK이노엔HK이노엔의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국산 30호 신약 케이캡 구강붕해정. 사진 제공=HK이노엔




HK이노엔(195940)이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국산 30호 신약 ‘케이캡’과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제품들 간 독성 위험을 비교한 결과 훨씬 낮은 수준의 독성 위험을 확인했다.



28일 회사 측에 따르면 케이캡정은 다른 PPI 계열 약물들에 비해 간 독성 위험이 27% 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PI 약물 6종(덱스란소프라졸, 에소메프라졸, 란소프라졸, 판토프라졸, 라베프라졸, 오메프라졸) 대비 가장 낮은 간 독성 위험률을 보였다.

관련기사



이같은 연구 결과는 23일부터 25일까지 사흘 간 전북대학교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학회에서 공개됐다. 연구를 주도한 김종승 교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에 쓰이고 있는 약물들이 간 기능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약물 간 위험성을 비교했다.

김 교수는 “기존 P-CAB계열은 간 독성 문제가 있었는데, 케이캡은 이번 연구로 간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전국민 실 사용 데이터를 통해 부작용을 진행한 연구로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했다”고 전했다.

한편, 케이캡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중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헬리코박터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 등 국내 동일 계열 치료제 중 가장 많은 적응증을 갖고 있다. 회사 측은 내년 케이캡정 25㎎의 출시를 앞두고 있다.


김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