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색맹·색약도 구별하는 '안전 디자인' 개발

전문가 조언 거쳐 안전색 선정

그림문자, 안전 표지 등에 적용

산업현장 안전 디자인을 적용한 픽토그램. 사진 제공=서울시산업현장 안전 디자인을 적용한 픽토그램. 사진 제공=서울시





서울시는 색맹·색약과 같은 색각 이상자도 구별이 가능한 산업 현장 안전 디자인을 전국 최초로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관련기사



특정 색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색약은 적색과 녹색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현재 산업 현장에 쓰이는 안전색 중에는 색약자가 구분하기 어려운 빨강(금지), 초록(안내) 등이 들어간 경우가 많다. 이에 시는 색각 이상자도 구별할 수 있는 색을 전문가 조언과 시험을 통해 안전색으로 선정하고 적용해 픽토그램(그림문자)과 안전 표지 등을 만들었다.

아울러 '휴대전화 사용 금지'처럼 현장에서 실제로 필요한 픽토그램 항목을 새롭게 개발하고 기존에 이해하기 어려웠던 모호한 안내 표지는 알아보기 쉬운 직관적인 디자인으로 개선했다. 신규 픽토그램은 국가표준(KS)과 국제표준화기구(ISO) 공식 등록도 추진한다.

실제로 시는 이번에 개발한 안전 픽토그램과 안전 표지를 '서울 표준형 안전 디자인'으로 정하고 국회대로 지하차도 1단계 건설 현장에 시범 적용했다. 시는 앞으로 다양한 산업 현장에 안전 표지를 설치·교체할 때 서울 표준형 안전 디자인이 활용될 수 있도록 내년에는 현장별 매뉴얼을 추가로 개발해 확대·적용할 방침이다.

아울러 내년 3월에는 공공·민간시설에도 쓰일 수 있게 안전 디자인 매뉴얼을 제작해 시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매뉴얼에는 출입구, 위험물 저장소, 고압전기 위험 구간 등 지점별로 어떤 안전 시설과 안전 표지를 적용해야 하는지에 관한 내용과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안전색 색채 시편과 스티커북 등이 수록된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