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에이프로젠 퇴행성관절염 신약물질 “절뚝이는 개를 뛰게 했다”

에이프로젠(007460)은 자사 핵심 파이프라인으로 개발중인 퇴행성 관절염 신약(에이프로젠 코드번호 AP20)이 개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기대 이상의 놀라운 치료효과를 보였다고 30일 밝혔다. 외부 위탁시험기관(CRO)이 수행한 효력시험에서 심한 퇴행성 관절염 발생으로 걷지 못하게 될 개가 거의 정상 개처럼 활발하게 뛰어다닐 수 있게 됐다.

회사 관계자는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한 개는 그대로 두면 증상이 악화돼 아픈 다리를 거의 땅에 딛지 못하는데 관절염이 발생한 개의 무릎에 AP20을 주 1회 투약했고 이후 통증 징후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관절 조직의 손상도 진행되지 않아 정상 개와 비슷한 활발한 활동성을 보였다”며 “이미 쥐를 사용한 여러가지 효력시험에서 AP20의 관절염 치료효과를 확인한 바 있으나 개의 치료효과는 예상을 뛰어넘는 놀라운 정도”라고 설명했다.

현재 에이프로젠은 AP20을 퇴행성 관절염 혁신신약(First-in-Class New Drug)으로 개발하기 위해 글로벌 CRO 기업인 일본 SNBL(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과 위탁시험 계약을 체결하고 원숭이 104마리로 전임상 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지난 25일에는 AP20의 미래 상업성을 독점적으로 보장받기 위해 물질 특허와 퇴행성 골관절염에 대한 용도특허도 출원했다.


회사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진행한 설치류 독성시험에서 관절강 내 최대 투여가능 용량을 투여한 경우와 한계용량까지 정맥투여한 두 경우 모두 체중, 식이, 행동 등 주요 독성지표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부검을 통한 조직평가에서도 독성흔적이 발견되지 않음을 확인했다”며 “효력용량으로 장기간 투여한 경우에도 어떤 이상 반응도 관찰되지 않았고 이러한 결과는 AP20이 관절강으로 투여되었을 때 전신으로 노출되는 양이 매우 제한적일 뿐 아니라 약리작용 이후 체내에서 배출되는 속도가 빨라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그는 “영장류와 인간의 조직 마이크로어레이(Tissue Microarrays) 분석 시 30여 종의 장기에서 AP20의 결합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을 때 표적 외 독성(Off Target Toxicity)이 발견될 가능성도 매우 희박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에이프로젠 관계자는 “현재까지 연골 손상을 막아주면서 동시에 통증을 감소시키는 치료제는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라며 “단일 질병으로는 세계시장 규모가 최대일 것으로 예상되는 퇴행성 관절염 분야의 글로벌 최초 혁신신약으로 개발 중인 AP20은 앞으로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시장에서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