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정부 “2050년 유인 우주 수송”…중장기 우주개발계획 윤곽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초안 공개

2045년 화성 착륙 등 5대 목표 제시

의견수렴 거쳐 연내 확정

누리호가 올해 6월 21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발사됐다.고흥=오승현 기자누리호가 올해 6월 21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발사됐다.고흥=오승현 기자




정부가 2045년 화성 착륙에 이어 2050년에는 유인 우주 수송능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이런 내용을 담은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초안을 공개하고 대국민 공청회를 열었다. 기본계획은 국가 우주개발 정책의 방향을 정하는 중장기(5년)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기본계획을 연내 확정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초안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2050년 유인 우주 수송과 함께 2040년 국제적 수준의 우주안보 확립, 선도형 우주임무 주도, 2045년 화성 착륙, 2050년 우주산업의 10대 주력산업 편입을 이번 기본계획의 목표로 삼았다. 지난 28일 윤석열 대통령은 2045년 화성 착륙 계획을 포함한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정부의 우주 관련 투자를 2027년까지 2배 수준인 1조 5000억 원으로 늘리고 우주항공청, 국가우주위원회 등 거버넌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누리호와 차세대 발사체 개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6세대(6G) 이동통신 등 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제4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은 그간의 노력을 통해 이뤄낸 누리호와 다누리의 성과를 딛고 더 넓은 우주를 향한 탐사와 민간 우주산업 생태계의 창출 등 새로운 단계의 우주정책 비전을 제시한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실현해나가는 전략으로서 ‘대한민국 우주경제 강국 실현’의 기틀이 될 것”이락 말했다.


김윤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