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지자체 최초로 데이터안심구역, 대전에 조성

데이터안심구역 대전센터 조성 협약 체결, 내년 3월 개소

금융, 통신 등 10개 분야 90여종 미개방 데이터 활용 가능

박윤규(왼쪽에서 두번째) 과학기술통신부 제2차관과 이석봉(″세번째)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 이준우(″첫번째) 충남대 연구산학 부총장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제공=대전시박윤규(왼쪽에서 두번째) 과학기술통신부 제2차관과 이석봉(″세번째)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 이준우(″첫번째) 충남대 연구산학 부총장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제공=대전시




지자체 최초로 데이터안심구역이 대전에 조성된다. 대전에서도 방대한 미개방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길 열렸다.

대전시는 6일 충남대에서 데이터안심구역 대전센터의 효과적 조성·운영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충남대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데이터 안심구역 구축 및 운영을 담당하고 대전시는 공간제공 및 지역특화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충남대는 데이터 인력양성을 추진하게 된다. 3개 기관은 지방의 데이터 양극화 해소를 위해 공동협력 사업도 발굴해 추진하게 된다.

관련기사



시는 지금까지 서울에만 운영되던 데이터안심구역의 방대한 미개방 데이터를 지자체 최초로 대전시가 보유하게 됐다. 지역의 기업, 연구기관, 학생들이 데이터 접근성 제약 해소를 통해 광범위한 연구 사업화, 비즈니스 창출 등의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데이터안심구역은 공공·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들 중 보안과 민감정보 등의 이유로 개방하지 못한 데이터들을 철저한 보안관리와 승인절차가 갖춰진 공간에서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분석한 결과를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서비스 공간이다.

데이터안심구역 대전센터가 충남대 캠퍼스내 조성되면 그동안 빅데이터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로 가야만 했던 불편이 사라지고 대전센터에서도 금융, 교통 등 10개 분야 90여종의 양질의 미개방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계청, 심사평가원 등 4개 기관의 각종 데이터들도 같은 공간에서 접할 수 있게 된다.

이석봉 시 경제과학부시장은 ”지자체 최초로 데이터안심구역을 대전에 조성한 것에 대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기술 개발과 연구협력, 맞춤형 인력양성 등과 연계해 대전에 최적화된 데이터경제 선순환을 이끄는 획기적인 인프라가 구축될 만큼 대전은 물론, 중남부 지방의 데이터 기업체, 학계, 일반 시민들의 많은 이용을 바란다”고 말헀다.

데이터안심구역 대전센터는 올해말까지 구축을 마무리하고 시범운영 기간 2개월을 거쳐 내년 3월에 시민에게 전면 개방할 계획이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