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 대한민국 기술대상 ‘대통령상’

14나노 적용 초고속 D램 D1a

메모리사업부 R&D 노력 '결실'

7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2 대한민국 산업기술 R&D 대전’ 행사에서 이정배(가운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이 대통령상 수상 후 상패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7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2 대한민국 산업기술 R&D 대전’ 행사에서 이정배(가운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이 대통령상 수상 후 상패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초고속 D램 D1a 기술로 ‘2022 대한민국 산업기술 연구개발(R&D) 대전’ 행사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고 7일 밝혔다.

관련기사



서울 코엑스에서 이날 열린 대한민국 산업기술 R&D 대전은 산업기술혁신사업으로 수행한 R&D 성과를 홍보하고 국내외 산학연 간의 기술 이전과 소통의 장을 열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반도체·기계·바이오 등 산업을 견인해온 혁신 기술을 선정해 시상한다. 이날 시상식에는 이정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사장이 참석했다.

올해 대한민국 최고 기술로 선정된 D1a는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가 세계 최초·최선단 14나노(10나노 4세대 1a급 )기반의 고용량을 탑재한 초고속 D램이다. 멀티 극자외선(EUV) 기반 기술과 새로운 셀 트랜지스터를 적용했으며 최대 용량은 64GB(기가바이트)에 달한다. 모바일용 최고 속도는 8.5Gbps(초당 기가비트)나 구현할 수 있어 고성능컴퓨팅(HPC)부터 스마트폰까지 초고용량과 초고속 데이터 처리 능력이 요구되는 4차 산업혁명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현재 D1a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공지능(AI), 스마트카 등 빅데이터 기반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D1a를 양산하기 위해 삼성전자 반도체 평택사업장에 차세대 프리미엄 10나노 4세대 D램 양산 라인을 새로 구축하기도 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