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K반도체 脫중국 쉽잖아…'차이나 리스크' 커지는 삼성·SK

시설투자 등 제한 비상등


미국의 중국 반도체 수출제한 조치가 동맹국으로 확산되면서 삼성전자(005930)·SK하이닉스(000660)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에 대한 영향도 불가피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의 강도 높은 수출 통제 조치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중국 내 반도체 생산 활동에 미칠 파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 낸드플래시, 쑤저우에 반도체 후공정 공장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우시에서 D램, 다롄에서 낸드플래시, 충칭에서 후공정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관련기사



미국이 10월 중국 반도체 기업에 미국 반도체 장비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지만 두 회사 모두 주요 투자를 이미 마친 상태여서 당장은 생산을 유지하는 데 큰 문제가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미국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1년간 장비 수입 유예를 적용하면서 단기적으로는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하루가 다르게 미중 갈등 양상이 복잡해지면서 중장기적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데 있다. 중국을 겨냥한 미국의 조치가 장기화하면 중국 내 공장에서 차차기 공정을 위한 첨단 시설 투자와 제조 장비 반입에도 지장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 공정 수준에서 생산량을 확장하는 데도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중국 생산 시설을 제3국으로 옮기는 ‘탈중국’ 전략도 불가능에 가깝다. 기반시설 조성에 이미 막대한 투자를 해놓은 상태인 데다 중국이 국내 반도체 업계의 최대 수요처라는 점에서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다만 업계에서는 미국의 중국 견제 조치가 동맹국인 한국 기업을 겨냥한 게 아닌 만큼 극단적인 사업 지장을 초래하는 수준까지는 이르지 않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예상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오히려 미국의 중국 견제 조치로 후발 주자 추격에 고심해온 한국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거둘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도 내놓는다.

업계 관계자는 “다양한 루트로 현재 상황을 지켜보고 있지만 기업 입장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라며 “정부가 미국과 협의를 계속 진행 중인 만큼 후속 상황에 따라 적절한 대응책을 검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