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현숙 여가부 장관 “엄마의 마음으로 보육연구 시작…무상보육 성과”

[서경이 만난 사람]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경제학자로 시작한 보육·복지정책 전문가

조세연구원 시절 보육·저출산 연구 시작

경제학 공부한 게 정책 업무에도 큰 도움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12일 정부서울청사 집무실에서 서울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이호재 기자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12일 정부서울청사 집무실에서 서울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이호재 기자




“조세재정연구원에서 우연히 보육·저출산 관련 연구를 시작하게 됐어요. 당시만 해도 보육을 연구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고 제 전공 분야는 경제학이었지만 저도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연구를 시작하게 됐습니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취임하던 당시 정통 관료나 여성 전문가가 아닌 경제 전문가라는 이력이 주목을 받았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참여정부 당시 조세재정연구원에서 첫 번째로 맡게 된 연구가 표준 보육 비용을 산정하는 연구였고 국내에서 보육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게 그 시기였다”며 “이후 보육·복지·저출산 관련 연구를 이어왔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김 장관은 보육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저출산 정책의 어려움을 체감했다고 밝혔다. 그는 “보육 지원과 출산율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는데 보육 지원을 늘리면 출산율이 증가하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지만 아주 크지는 않아서 보육 하나만으로는 안 된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보육과 육아휴직 지원이라는 두 가지 축이 함께 가야 한다”며 “보육은 정부를 통해서도 빠르게 지원을 늘릴 수 있지만 육아휴직은 기업의 협조와 직장 문화 변화가 함께 이뤄져야 하는 만큼 효과가 천천히 나타나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 국회의원, 대선 캠프 본부장 등을 거치며 보육·복지·저출산 관련 경험을 쌓아왔다. 제19대 국회에서 여성가족위원회 간사로 활동했고 박근혜 정부에서 고용복지수석비서관으로 일하며 여가부·보건복지부·고용노동부 업무를 모두 다뤘다.

김 장관은 국회의원으로 일하며 ‘무상 보육’을 관철시킨 주역 중 한 명이다. 2013년 3월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는 민간 기업에서 육아휴직이 적용되는 자녀의 나이를 만 6세 이하에서 만 9세 이하로 올리는 내용이 담겼다 . 이후 국회 논의를 거쳐 적용 나이가 만 6세에서 8세 이하로 확대되는 입법 성과를 거뒀다.

김 장관은 “국회·대통령실·학계·연구기관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일하며 여가부의 예산·인력·권한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민들이 공감하는 정책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됐다”면서 “정책 연계·협력 강화, 청소년·가족 정책과 5대 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정책 비중 강화에 신경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공인 경제학도 여가부 업무를 수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경제학은 자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배분할 것인지를 다루는 학문”이라면서 “비용편익분석 등을 토대로 정책의 큰 방향을 설정하고 실행하기 위한 예산 배분의 문제를 연구한 경험이 공직 업무 수행에 큰 도움이 된다”고 했다.


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