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집 못팔면 망한다"…'완판 분양소장'까지 지방 급파

■미분양 급증에 ‘특단책’ 꺼내는 건설사

1군 건설사 '완판 분양소장'

"최대 성과내자" 지방 파견

중도금 무이자·계약금 분납 등

실수요자 체감 혜택도 줄이어

시민들이 아파트 모델하우스에서 평면도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시민들이 아파트 모델하우스에서 평면도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적으로 미분양 물량이 1년 새 3배 이상 급증한 가운데 건설사들이 미분양 해소를 위해 특단의 대책을 꺼내 들고 있다. 지금껏 ‘완판’을 놓치지 않았던 분양소장을 미분양 우려 현장에 ‘해결사’로 파견하는 것을 비롯해 ‘더 떨어지면 사겠다’는 소비자의 마음을 붙잡기 위한 금융 지원까지 나섰다.



21일 건설 업계에 따르면 1군 A건설사는 수도권 담당이던 분양소장 B 씨를 다음 달 분양을 앞둔 대전으로 급파했다. B 씨는 지금까지 맡아온 현장에서 한 번도 완판을 놓친 적이 없다. 분양 프로젝트에서 건설사를 대표하는 분양소장은 통상 사업 주체인 시행사 또는 조합과 협의해 일반 분양가를 산정하고 신청하는 일부터 협력 업체인 분양 대행사 인력(OS요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해 해당 현장을 이슈화하는 일까지 분양의 알파부터 오메가를 두루 맡는다.

건설사 자체 사업이 아닌 현장의 경우 시행사나 조합의 입김이 세지만 그런 곳에서도 분양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중도금 이자에 대한 지원 혜택이나 유무상 옵션 설정을 확정하고 시장에 선보이는 일은 분양소장의 몫이다. A사 안팎에서는 해결사로 불리는 분양소장 B 씨를 콕 찍어 지방 현장에 보낸 것을 두고 “어려운 시황에서도 최대의 분양 성과를 내기 위한 묘수를 구하는 모습”이라는 평이 나온다.

2215A29 전국 미분양 가구수2215A29 전국 미분양 가구수




실수요자 확보가 분양 성패를 가른다는 판단에 소비자가 바로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꺼내 든 건설사들도 늘고 있다. 이들은 △중도금 이자 지원 △계약금 할인 및 분납 △선호 옵션 무상 제공 △유튜브와 온라인 등 직접 광고 확대 등을 ‘4대 전략’ 삼아 대응에 나선 상태다. 청약 수요자들이 가장 크게 매력을 느끼는 중도금 이자 후불제나 전액 무이자 혜택을 내세운 곳이 많다. 1군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중도금 무이자 등 분양 마케팅 전략은 결국 발주처인 시행사나 조합이 갖고 있는 자금력에 따라 달라지는 만큼 현장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밖에 없다”면서도 “회사에서는 모든 자원을 끌어모아 분양 전략을 짜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실제로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 동탄역 센트릭’은 중도금 전액 무이자 혜택을, 롯데건설의 ‘천안 롯데캐슬 더 두정’은 중도금 전액 무이자에 광폭 강마루와 거실 아트월 타일 등 선호 옵션을 무상으로 제공한다. GS건설의 ‘장위자이 레디언트’도 중도금대출 이자 후불제를 적용했을 뿐 아니라 안심 금리 보장제도 약속해 금리가 연 6% 이상으로 오를 경우 사업 주체가 추가분을 부담하기로 했다. 여경희 부동산 R114 수석연구원은 “이 같은 노력은 미분양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자구책”이라며 “다만 하락기에도 가격을 방어할 수 있는 입지나 저렴한 분양가로 선보인 단지를 중심으로 마케팅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1만 가구대에 머물던 전국 미분양 물량은 올 들어 가파르게 증가하는 모양새다. 올해 1월 2만 가구를 넘어선 후 6개월 만인 7월 3만 가구를 넘어섰고 다시 2개월 뒤인 9월 4만 가구를 돌파했다. 올해 10월 기준 4만 7217가구를 기록하며 1년 전 1만 4075가구에서 무려 3만 3142가구(235.5%) 늘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