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농산물값 급락에 석 달 만에 떨어진 생산자물가

11월 생산자물가 전월 대비 0.2% 하락

전년 대비로도 5개월 연속 상승세 둔화

농산물 7.8%·화학제품 0.9% 하락 영향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농산물가격과 국제유가 하락 여파로 11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석 달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42(2015년=100)로 전월 대비 0.2% 하락했다. 생산자물가지수가 하락한 것은 지난 8월(-0.4%) 이후 3개월 만이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6.3%로 24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지난 7월 이후 5개월 연속 상승 폭은 둔화되는 모습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산물(-7.8%)과 축산물(-0.6%) 등 농림수산품이 전월 대비 3.2% 떨어지며 10월(-7.3%)에 이어 두 달 연속 가파른 하락세를 이어갔다. 특히 무(-47.8%)와 배추(-45.1%) 가격 하락세가 눈에 띄게 가팔랐다.

관련기사



공산품의 경우 유가 하락에 따른 화학제품(-0.9%)과 석탄 및 석유제품(-1.0%) 가격의 동반 하락으로 전월보다 0.2% 내렸다. 지난 8월 이후 석 달 만의 하락세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도 원료비연동제로 11월 산업용 도시가스요금이 잠시 내리면서 0.1% 하락했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도 전월 대비 1.5% 내렸다. 원재료(-4.7%)와 중간재(-1.1%), 최종재(-1.2%) 모두 하락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1월 총산출물가지수도 9월보다 1.7% 떨어졌다. 농림수산품(-3.2%)과 공산품(-2.5%)이 모두 하락한 결과다.

생산자물가는 일반적으로 1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끼친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