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민 절반 감염 오미크론에 깊은 상처…새 변이 출현·중국발 재유행 우려 등 돌발 변수 여전

[K바이오 결산 2022]

<1> 문 열린 엔데믹 시대

우세종화 이후 오미크론 확진자 3000만명 육박

자영업자 대출 1000조 넘고 사망자 3만 명 넘어

엄청난 희생 치르고 '사회적 거리두기' 대폭 완화

위중증 환자 연일 500명 돌파 BN.1 변이는 기승

중국발 재유행 등 우려도 커져 "안심하기엔 일러"

사진 설명사진 설명




올 초 등장한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는 하루 60만 명이 넘는 확진자를 양산하면서 우리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재택치료자·밀접접촉자가 100만 명이 넘자 방역 당국은 인력 부족에 시달리며 밀접 접촉자들에 대한 관리를 포기하며 확진자 관리 중심 방역 정책으로 선회했다. 역설적으로 대규모 감염이 발생하면서 집단 면역이 강화되고 백신 접종이 늘어난 덕분에 우리 사회를 옥죄었던 ‘사회적 거리두기’를 멈추고 일상회복에 다가서는 계기도 마련됐다. 심각한 팬데믹과 엔데믹 전환이 올 한 해 빠르게 진행된 셈이다. 하지만 최근 7차 재유행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는데다 BN.1 등 새로운 변이가 늘어나고 있고, 중국의 방역대책 완화에 따른 후폭풍도 우려돼 내년에도 마냥 마음을 놓을 수는 없는 상황이다.



22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까지 총 누적 확진자 수는 3000만 명에 육박한 2839만 3521명으로 집계됐다. 올 초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화 되기 직전까지 누적 확진자 수가 74만 명 수준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오미크론 변이가 국내에 유입된 이후 국민 절반을 넘게 감염 시킨 셈이다. 실제 올 1월 24일 오미크론 변이의 국내 검출률이 50%를 넘어서며 우세종화 됐고, 불과 두 달이 지난 3월 23일 기준 누적 확진자 수는 1042만 7247명으로 늘었고 약 5개월 후인 8월 3일 2000만 명을 넘어섰다. 올 들어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람은 2만 5986명으로 집계됐다.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창궐 이후 총 누적 사망자 3만1611명 중 올해 사망한 사람이 82%에 달했다.

관련기사



그만큼 오미크론 대유행은 우리 사회에 강력한 충격을 줬다. 고령의 확진자는 병상 부족으로 14시간 동안 구급차를 탑승한 채 음압병상을 찾다가 숨을 거두기도 했고, 확진된 산모는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병원을 찾아 헤매다 결국 응급차에서 출산을 하기도 했다.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지면서 문을 닫는 소상공인들이 속출했다. 아울러 관광·공연 관련 업체들도 아예 사업을 하지 못해 폐업하는 곳이 크게 늘었다.

하루 수십 만명에 달했던 신규 확진자 수가 줄어들면서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크게 완화하고 엔데믹에 돌입했지만 최근 발생한 7차 대유행 확산세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3주 연속 큰 폭으로 늘면서 7~8만 명 대에 달하고,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중증 환자 수는 연일 500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BN.1의 국내 검출률이 20%를 돌파하며 감염 확산에 기름을 붓고 있다. 인접 국가인 중국의 위드 코로나 정책 기조도 국내 유행 규모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중국과 다시 교류가 활발해지면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항만·공항 검역 강화 등에 대한 대비책은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 역시 "내년에도 안심하기 이른 상황”이라고 입을 모은다. 정기석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은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해 “아직 끝난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스스로 고위험군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조금 더 엄격하게 방역 수칙을 지키고 경우에 따라 개량 백신(2가 백신) 등을 접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천은미 이대 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치료제를 적극 처방하면서 중증화율과 사망률을 낮춰 엔데믹에 대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