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수억원 뚝 뚝' 하더니…집값 IMF 이후 가장 많이 떨어졌다

12월, 작년말보다 3.12% 내려

세종 -11.97%·대구 -7.15%

서울 -2.96%, 10년만에 최대

평당 매매가 5000만원 아래로

서울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앞. 서울경제DB서울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앞. 서울경제DB




올 들어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전국 집값이 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크게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KB부동산 12월 주택가격동향 통계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값은 지난해 말 대비 3.12% 하락했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3.56% 하락한 후 가장 큰 낙폭이다. 전국 집값은 올해 상반기(1~6월)까지 조금씩 올랐지만 7월(-0.07%) 하락 전환한 후 갈수록 낙폭이 확대돼 12월 -1.52%를 기록했다. 특히 세종 아파트 값이 올 들어 11.97% 급락하며 전국에서 가장 많이 떨어졌고 대구(-7.15%)가 뒤를 이었다. 수도권인 인천(-6.12%)과 경기(-5.26%)도 전국 평균보다 더 하락했다.



서울 집값은 2.96% 하락해 2012년(-4.48%) 이후 10년 만에 가장 많이 떨어졌다. 특히 도봉(-6.40%)·노원(-5.63%)·성북(-5.58%)구 등 외곽 지역에서 하락세가 가팔랐다. 12월 서울 아파트 3.3㎡(평)당 평균 매매가격도 4983만 원을 기록해 1년 만에 5000만 원 아래로 주저앉았다. 서울 평당 평균 아파트 가격은 올해 1월 사상 첫 평당 5000만 원을 돌파한 후 6월 5158만 원까지 올랐지만 이후 하락세를 타고 있다.

관련기사



2715A25 지난 해 말 대비 2022년 12월2715A25 지난 해 말 대비 2022년 12월


2020~2021년 급등했던 집값이 올해 하락 전환한 것은 잇따른 금리 인상으로 집값 하락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금리가 계속해 오르고 매수세도 위축되니 집값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특히 서울의 경우 상대적으로 대출이자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입지가 떨어지는 외곽 지역에서 더 많이 하락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고 대표는 이어 “부동산 매매 거래량도 급감하면서 수억 원씩 하락한 일부 급매만 거래되다 보니 집값 하락 폭에 대한 심리적 체감은 더욱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서울부동산정보광장 기준)는 1만 1324건으로 지난해(4만 1948건) 대비 3만 624건(73.0%) 급감했다.

한편 올해 전세가는 매매가보다도 더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12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해 말 대비 3.84% 떨어졌는데 이 역시 1998년(-20.18%)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이다.


김경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