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뇌 먹는 아메바' 국내 첫 감염 …泰서 귀국 50대 10일만에 사망





뇌 조직을 파괴해 일명 ‘뇌 먹는 아메바’로 불리는 파울러자유아메바 감염자가 국내 최초로 발생했다.



질병관리청은 태국에 4개월간 체류하고 귀국한 뒤 사망한 50대 뇌수막염 사망자에게서 파울러자유아메바를 확인했다고 26일 발표했다. 그는 10일 귀국 당일부터 증상이 시작돼 다음 날인 11일 응급실로 이송됐고 10일 후인 21일 사망했다.

관련기사



파울러자유아메바는 사람·쥐 및 실험동물 감염 시 치명적인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을 유발해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는 병원성이 매우 높은 원충이다. 1937년 미국 버지니아에서 세계 최초 사례로 확인된 뒤 2018년까지 381건이 보고돼 감염 사례 자체는 드물지만 감염 후 증상 진행이 빠르고 치명적이어서 ‘뇌 먹는 아메바’로도 불린다. 아메바는 주로 호수나 강에서 수영·레저를 할 때 코를 통해 들어와 후각신경을 따라 뇌로 이동한다. 또 코 세척기를 통해 오염된 물을 사용할 경우 감염될 수도 있다. 다만 사람간 전파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감염 예방을 위해 파울러자유아메바 발생이 보고된 지역 여행 시 수영 및 레저 활동을 삼가고 깨끗한 물을 사용하는 등 각별히 주의해달라”고 권고했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