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각자 관심사로 돈벌수 있게…세컨블록이 제2 공간 될 것"

김수연 두나무 메타버스실 총괄 실장

최대 6만명까지 동시접속 가능

커뮤니티서 온디맨드 방식 등

누구나 자유롭게 경제적 활동

김수연 두나무 메타버스실 총괄 실장. 사진=조윤진 기자김수연 두나무 메타버스실 총괄 실장. 사진=조윤진 기자





“메타버스가 단순한 이용자의 심심풀이나 이벤트용으로만 사용되길 바라지 않습니다. 두나무는 누구나 자유롭게 경제적 활동이 가능한 가상공간으로 세컨블록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김수연(사진) 두나무 메타버스실 총괄 실장은 28일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각자의 관심사가 곧 경제활동으로 연결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자 한다”며 세컨블록의 청사진을 이같이 밝혔다. 20여 년간 카카오 등 정보기술(IT) 업계를 두루 거친 김 실장은 현재 두나무의 메타버스 플랫폼 ‘세컨블록’을 총괄하고 있다.

김 실장은 메타버스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한다. 그는 “비대면 활동이 많아졌다고 오프라인만이 갖는 강점을 온라인이 완벽하게 대체하기는 어렵지만 메타버스는 오프라인에서 불가능한 시공간 제약을 뛰어넘는다”고 말했다. 그래서 세컨블록이 역점을 둔 기술도 ‘대규모 연결’이다. 기존의 다른 메타버스 플랫폼과 달리 세컨블록은 그래픽을 3D가 아닌 2D로 단순화한 대신 수만 명 이상이 동시에 소통할 수 있는 기술을 장착했다. 김 실장은 “3D 기반 플랫폼에서는 동시에 40~70명이 접속할 수 있다면 세컨블록은 최대 6만 명 동시 접속을 고려하고 있다”며 “또 웹뿐만으로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소통이 가능하도록 앱 버전도 완성 중”이라고 밝혔다. 수많은 사람들이 모인 공간에서 각자가 자신의 관심사를 바탕으로 소통하고 그 과정에서 능동적인 자기 PR이 가능하게끔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김 실장은 “취향 기반으로 커뮤니티가 구성되면 또 그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경제활동이 가능해지게 되는 구조를 만들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하는 만큼 이 과정에서 이뤄지는 커뮤니케이션은 그룹 채팅, 일대일, 온디맨드(수요에 맞추는) 방식 등 다양하게 이뤄질 수 있다. 현실 세계가 제1의 활동 공간이라면 메타버스 플랫폼은 제2의 공간이 되는 셈이다.

한편 세컨블록은 지난해 베타 버전을 오픈한 데 이어 올해 5월 말 소프트 론칭을 진행했다. 지난달 말 기준 세컨블록의 누적 가입자 수는 6만 5000여 명이다. 아직 정식 버전 출시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


글·사진=조윤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