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반지의 제왕 사우론이냐"…푸틴 금반지 선물에 '조롱'

알렉산드르 루카셴코(왼쪽) 벨라루스 대통령이 지난 27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독립국가연합(CIS) 정상회의 도중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선물한 반지를 착용한 채 걸어 나오고 있다. 모스크바타임스 캡처알렉산드르 루카셴코(왼쪽) 벨라루스 대통령이 지난 27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독립국가연합(CIS) 정상회의 도중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선물한 반지를 착용한 채 걸어 나오고 있다. 모스크바타임스 캡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옛 소련 국가 모임인 독립국가연합(CIS)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들에게 금반지를 선물했다.



푸틴 대통령의 이번 행보를 영화 ‘반지의 제왕’의 절대악(惡) 캐릭터 사우론에 빗대는 등 노골적 조롱이 이어졌다.

28일(현지 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지난 26~27일 이틀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벨라루스,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8개국 지도자와 정상회담을 한 뒤 이들에게 금반지를 선물하고 마지막 9번째 반지는 푸틴 대통령 본인이 간직했다.



반지에는 ‘러시아’, ‘해피 뉴 이어 2023’이라는 문구가 새겨졌다.

관련기사



CIS 정상 가운데 그 자리에서 반지를 착용한 인물은 푸틴 대통령의 ‘하수인’으로 불리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유일했다고 AFP는 보도했다.

이 같은 반지 선물과 관련해 정치 전문가들 사이에선 푸틴 대통령을 ‘반지의 제왕’ 속 절대 악역인 사우론에 빗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사우론은 세상을 지배하기 위해 인간 왕들에게 자신의 탐욕이 담긴 반지 9개를 나눠주고 노예로 삼았다.

러시아 정치 전문가 예카테리나 슐만은 푸틴 대통령이 반지를 나눠준 것이 ‘반지의 제왕’을 의식하고 의도적으로 벌인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반지가 푸틴 대통령의 헛된 꿈을 상징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러시아 정치 평론가 율리아 라티니나는 개전 후 국제적으로 고립된 러시아의 현실을 지적한 뒤 “푸틴 대통령이 힘이 아닌 ‘무기력의 반지’를 나눠줬다”고 비꼬았다. 그는 “이 반지를 끼는 지도자의 국가는 미치광이가 다스리는 어둠 속으로 떨어질 것”이라면서 “푸틴 대통령은 이 반지를 혼자서만 끼고 다닐 것이다. 그것도 오래가지는 못하겠지만”이라고 덧붙였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반지는 단순한 새해 선물일 뿐이라며 확대 해석에 선을 그었다. 그는 푸틴 대통령이 9번째 반지를 끼고 다니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미경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