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LNG선박·OLED마저…글로벌 1위 '위태'

■ 中 저가·물량 공세에…밀려나는 韓 주력산업

K배터리 세계점유율 7%P↓23%

LG엔솔은 中기업에 밀려 3위로

디스플레이 이어 OLED 맹추격

韓 독점 LNG선 발주까지 잠식





디스플레이·배터리·조선 등 국내 주력 산업이 중국발(發) 공습에 흔들리고 있다. 중국 기업들이 막대한 보조금과 세제 혜택 등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가격 경쟁력을 키우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기업을 따돌리거나 격차를 더욱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 빼앗긴 1위 자리를 탈환하려면 과감한 기업 지원책이 나와야 하지만 국내에서는 반기업 정서와 여야 대치로 기업 지원 법안들이 줄줄이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해 기업들의 경쟁력만 훼손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중국 업체들의 고속 성장에 밀려 하락했다. 지난해 11월 누적 기준 국내 배터리 3사의 점유율은 23.2%로 1년 사이 7.3%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기간 세계 1위인 중국 CATL은 점유율을 37.1%까지 끌어올리며 한국 기업들과의 격차를 더욱 벌렸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은 12.3%의 점유율에 그치면서 중국 비야디(BYD)에 2위 자리를 내줬다.

관련기사



2021년 중국에 1위 자리를 잃은 디스플레이 산업은 고부가 사업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시장에서도 매서운 추격을 받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 등 국내 기업들은 정부의 산업 육성책 하에 과감한 투자와 기술 개발로 2004년 일본을 밀어내고 왕좌에 올랐다. 하지만 중국 업체들이 정부 지원을 받아 액정표시장치(LCD) 생산 설비에 대규모로 투자하면서 디스플레이 생산량 1위에 올라섰다. 이런 추세라면 미래 먹거리로 불리는 OLED 산업도 중국에 빼앗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경기 침체에 따른 해운업 불황 우려로 국내 조선사가 주도했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발주 시장에서도 중국이 급부상하고 있다. 한국조선해양은 3일 콘퍼런스콜에서 올해 LNG선 수주량을 전년 대비 절반가량 줄어든 20척 이상으로 전망했다. 고부가가치 선박인 LNG선은 그동안 한국 기업이 독점해왔지만 지난해부터 중국이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2021년 7%였던 중국의 점유율은 지난해 30%로 올라섰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중국이 빠르게 추격해온 배경에는 연구개발(R&D)과 시설 투자에 대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다”며 “기업은 차세대 제품을 개발하고 발 빠르게 시장화해 승부를 봐야 하며 정부도 지속적인 지원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서민우 기자·진동영 기자·김기혁 기자·유창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