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美, 부자들이 힘들어지는 사회 온다"…WSJ 분석 '왜?'

WSJ 캡처WSJ 캡처




올해 미국이 경기 침체에 빠져들 경우 예년과 달리 고소득층이 더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3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고소득층이 더 큰 어려움을 겪는 불황이란 의미에서 부자를 뜻하는 ‘리치(Rich)’와 불황을 의미하는 ‘리세션(Recession)’을 조합한 ‘리치세션(Richcession)’이라는 신조어를 제시하며 이 같이 보도했다.

지난해 3분기 미국 내 상위 5%의 순자산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비교했을 때 22% 증가했지만 2021년 말에 비해 7.1% 감소했다. 고소득층의 경우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양적완화에 따른 주식시장의 활황으로 전반적인 자산이 늘었지만, 지난해 전 세계가 급격히 금리를 올리면서 주식시장은 전반적으로 약세를 나타냈고 이에 불황에 대비할 수 있는 자금이 전년도에 비해 줄어든 것이다.



과열된 노동시장에도 불구하고 고액 연봉을 받는 테크 기업 등을 중심으로 정리해고가 확산 중이라는 점 역시 고소득층의 직업 안정성을 해치는 요인이다. 이들은 대부분 고학력·고기술 인력으로 다른 근로자들보다 쉽게 새 직장을 찾을 수 있지만 새 직장을 찾을 때까지 임금을 받지 못할 뿐 아니라 전 직장 수준의 임금을 받을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미국 시카고의 한 식료품점. AFP연합뉴스 캡처미국 시카고의 한 식료품점. AFP연합뉴스 캡처


저소득층의 경우 이전보다 자산, 직업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경기침체에 대응할 준비가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소득 기준으로 하위 20% 가구의 순자산은 2021년 말에 대비 17% 상승했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말 대비로는 42%나 늘어났다. 이는 코로나19 기간 정부의 각종 지원금·보조금 지급 덕분인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고용시장의 활황으로 임금이 대폭 상승한 것 역시 하위 가구의 순자산 상승에 도움이 됐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하위 25%의 임금인상 폭은 7.4%로 상위 25%의 임금인상 폭(4.8%) 보다 더 컸다. 저소득층, 중산층 근로자들을 더 많이 고용하는 산업들의 경우 여전히 인력난을 겪고 있어 당분간 이러한 임금상승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편 WSJ은 향후 불황이 닥칠 경우에도 저소득층이 종사하는 서비스업 등의 직업 안정성은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미경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