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아픈 아이도 돌봄 서비스… ‘서울형 틈새 돌봄’ 3종 시행

서울시, 등하원·아픈 아이·영아 돌봄 서비스 제공

아픈 아이 돌봄, 최대 720명의 전담 돌보미 활용





서울시는 ‘서울형 틈새 아이 돌봄’ 3종 서비스를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3대 서비스는 양육 공백 상황에 놓인 자녀를 대상으로 시행되며 등하원 보조, 아픈 아이 병원 동행, 36개월 이하 영아 돌봄이다. 지난달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 지역을 공모해 서비스를 선보일 자치구를 최종 선정했다.



‘등하원 전담 아이 돌봄 서비스’는 용산·광진·중랑·서대문·강동구 등 5개 자치구에서 우선 추진한다. 300명의 전담 돌보미가 어린이집, 유치원, 보육시설 등 등원 시간 전후 3시간 동안 식사나 준비물을 챙겨주고, 하원 시간 전후 4시간 동안 양육자가 귀가할 때까지 아이를 돌본다.

관련기사



아픈 아이 돌봄 서비스는 만 12세 이하 아동이 복통 등 단순 질병으로 아프거나 예방 접종, 정기 검진 등으로 병원에 가야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성동·동대문·강북·강서·서초구에서 시행된다. 최대 720명의 전담 돌보미가 병원 동행과 진료, 진료비 수납, 약 구매, 가정 내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용요금은 아이돌봄 서비스와 같고 진료비는 이용 가정이 부담해야 한다.

영아 전담 돌봄 서비스는 출산 휴가나 육아 휴직 후 직장으로 복귀하는 부모들에게 만 36개월 이하 영아를 대상으로 돌봄을 제공한다. 지난해 구로구 등 6개 자치구에서 시범운영하던 것을 올해는 서울시 전 지역으로 확대 운영한다. 시는 전담 돌보미를 기존 260명에서 800명으로 늘렸고 2025년에는 1000명까지 증원한다는 계획이다. 영아 돌보미는 하루 8시간 동안 돌봄 교육을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서비스 이용은 기존 아이 돌봄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양육자가 서비스를 요청하면 전담 돌보미를 소개하는 식으로 이뤄진다. 서울형 틈새 아이 돌봄에 참여하는 전담 돌보미에는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활동한 만큼 시간당 1000 원의 추가 수당을 지급받고 돌봄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아이 돌봄 서비스에 대한 내용과 이용 방법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거주 지역의 아이 돌봄 서비스 제공기관에 연락하면 상세한 상담도 가능하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