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템임플란트(048260)가 중국의 치과용 임플란트 물량기반조달(VBP) 입찰에서 최다 수량인 49만 1090세트를 낙찰받았다고 11일 밝혔다.
글로벌 1위 임플란트 회사인 S사 수량 대비 2.3배에 해당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오스템임플란트 관계자는 “이익을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판매 수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적인 입찰로 계획했던 낙찰 결과를 얻었다”며 “VBP 시행으로 인해 임플란트 시술 비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면서 중국내 임플란트 수요가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큰 만큼 점유율을 더욱 확대하기 위한 전략을 면밀히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입찰에 앞서 현지 치과 병·의원을 대상으로 한 수요 조사에서도 자사 제품이 수요량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조사에 참여한 병·의원 가운데 47%가 오스템임플란트 제품 구매 의사를 밝혀 총 수요량이 60만 세트를 넘어섰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회사는 “주요 글로벌 업체와 현지 업체들을 총망라해 수요량이 50만 세트 이상인 곳은 오스템임플란트가 유일하다”며 “악재로 인식됐던 VBP 시행이 시장 지배력을 높이는 계기로 전환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자평했다.
한편 오스템임플란트의 2022년 중국 내 매출을 2800억 원 규모로 추산했다. 전년 대비 26% 가량 증가한 수치다. 중국 내 거래 치과 수는 1만 4000여개며 매출 기준 현지 시장 점유율은 28%에 이른다는 추정이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제품의 시술 편의성과 임상 성공률을 집중적으로 알려 구매 수요를 넓히는 동시에 프리미엄 라인에 대한 홍보와 영업을 강화해 점유율을 확대할 방침”이라며 “중국 당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해제에 발맞춰 임상 교육을 적극 확대해 현지 치과의 임플란트 시술율을 높이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