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이평구 지질연 원장 “울진 등 광산 6곳서 리튬 확인…리튬 강국 될 것”

“연내 매장량 파악, 2차 가공 기술도 이미 확보”

“폐배터리 재활용 통해 리튬 확보 기술도 개발”

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연합뉴스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연합뉴스




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이 “한국도 리튬 강국이 될 수 있다”며 올해 국내 리튬 광산의 매장량을 본격적으로 파악하겠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장은 11일 서울 중구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지난해 국내 광산 6곳에서 리튬을 확인했다”며 “대표적인 곳은 울진이며 올해 안에 매장량 평가가 끝날 것”이라고 말했다. 리튬은 전기차 등에 쓰이는 배터리의 주 소재이며 미래 핵심 광물 중 하나로 꼽힌다.

관련기사



이 원장은 “광산 탐사뿐 아니라 이를 활용해 리튬하이드록사이드(수산화리튬)와 리튬 카보네이트 등 2차 가공 산물로 만드는 기술을 이미 확보한 상태”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국내에서 채굴한 ‘리튬 레피돌라이트(홍운모)’ 실물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울진의 어떤 광산인지는 밝히지는 않았다.

또 연구원이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해 리튬을 확보하는 기술도 개발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연구원이 1000억 원 규모의 연구를 10년간 수행하면서 폐배터리에서 리튬 등 핵심 광물 95.8%를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100개의 폐배터리를 회수했을 때 재활용을 통해 약 95개의 새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는 의미다.

또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에 탑재된 지질연의 과학 장비인 ‘감마선 분광기’에 대해 “지금 계속 신호가 오고 있는 상태로 물과 자원이 분포하는 지역을 우리가 분포도로 작성할 예정”이라며 “2050년에는 지구뿐 아니라 달과 화성에서도 연구하는 연구원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