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여성·가족·청소년 실질적 보호 늘려 모두를 위한 양성평등 사회 만들 것"

■김현숙 여가부 장관 기자간담

올해 돌봄정책 진행 방향 등 발표

학교 밖 청소년·경단녀 지원도 밝혀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12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신년 기자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여성가족부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12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신년 기자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여성가족부




“여성·가족·청소년에 대한 실질적 보호 기능 강화라는 원칙을 잘 녹여내 남녀와 세대 모두를 위한 양성평등 사회로 한걸음 더 나아가겠습니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12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가진 신년 기자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관련기사



김 장관은 간담회에서 올해 여가부가 중점적으로 진행할 가족·청소년·돌봄 정책 등의 진행 방향을 발표했다. 그는 “어떤 가족이든 동등한 기회가 보장돼야 한다”면서 한 부모 가족 지원 대상을 중위소득 60%까지 확대하고 한 부모 가족 복지시설 입소 기간을 현재 2~3년에서 최대 5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아이 돌봄 서비스 고도화 추진 계획’을 조만간 발표해 아이 돌봄 인력 양성 방식을 개편하고 돌봄 서비스의 질적 수준도 높인다.

김 장관은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기능을 강화하고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을 확대하겠다고도 밝혔다.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자살·자해 특화 고위기 집중 심리 클리닉을 운영하고 광역 단위 17개 상담복지센터에 임상심리사를 신규 배치하는 등 지원을 늘린다. 김 장관은 “학교 밖 청소년의 다양한 요구를 맞춤형으로 지원하기 위해 전용 공간을 10개소 확충하고 건강검진 항목도 대폭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경력 단절 여성 지원 정책도 재차 밝혔다. 김 장관은 “일하고 싶은 여성들이 마음껏 일할 수 있도록 여성 경제활동 참여를 확대하고 유지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면서 “이는 양성평등 사회로의 진전과도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여가부는 경력 단절 여성들이 정보기술(IT),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고부가가치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며 다국가 네트워크를 확대한다.

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