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세배는 배꼽인사서 시작…전은 안 부쳐도 돼"

■성균관유도회 차례 간소화 권고

남녀가 함께 절할 땐 남성이 왼쪽

최영갑 성균관유도회총본부 회장이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설 차례상 간소화와 세배 등 인사 예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조상인 기자최영갑 성균관유도회총본부 회장이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설 차례상 간소화와 세배 등 인사 예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조상인 기자




“어린이들의 일명 ‘배꼽인사’는 ‘공수(拱手)’라는 이름의 전통 인사법입니다. 손을 모으고 허리를 숙여 인사하는 것이 갖춰진 예의이고 세배는 공수한 상태에서 무릎을 꿇으며 절을 합니다. 이때 방석에 무릎이 닿는 것은 괜찮으나 방석 위에 서서 세배하는 것은 틀린 예법입니다.”



‘시대에 맞는 유교’를 내건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인 최영갑(사진) 성균관유도회총본부 회장은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성균관유도회총본부·한국유교문화진흥원 등과 함께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새해 인사와 세배법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관련기사



세배 때 하는 절은 ‘전배(展拜)’인데 한 손으로 다른 손을 감싸듯 두 손을 모은 공수 자세를 취한 후 몸을 굽혀 절을 하면 된다. 남자는 왼손이 위로,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포갠다. 남녀가 함께 절할 때는 윗사람이 볼 때 남성이 왼쪽, 여성이 오른쪽에 선다.

최영갑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과 성균관유도회총본부·한국유교문화진흥원 관계자들이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설 차례 간소화’를 주제로 한 기자 간담회에서 예법에 맞는 세배법을 시연하고 있다.최영갑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과 성균관유도회총본부·한국유교문화진흥원 관계자들이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설 차례 간소화’를 주제로 한 기자 간담회에서 예법에 맞는 세배법을 시연하고 있다.


최 회장은 차례상과 관련해 “차례상에 올리는 과일 종류는 정해진 것이 없으니 편하게 고르면 되고 힘들게 전을 부치지 않아도 된다”고 제언했다. ‘간소화’ 원칙을 강조한 성균관은 떡국, 나물, 구이, 김치, 술(잔), 과일 4종 등 아홉 가지 음식을 올린 차례상을 보기로 제시했다. 추석상의 송편 대신 설날은 떡국을 준비한 것이 차이점이다. 성균관은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된다. 전을 부치느라 고생하는 일은 이제 그만두셔도 된다”고 덧붙였다.


글·사진=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