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나경원, 출마 시점만 남았다…안철수와 '反윤핵관' 연대 구축하나

羅, 이승만·박정희·김영삼 묘역 참배

"영원히 사는 정치할것…내가 보수원류"

安, 김기현·윤핵관에 각 세우며 羅와 동조

金 "트집잡기…김장연대은 이제 안썼으면"

정진석 "경쟁 과열…분란 조장행위는 제재"

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16일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을 찾아 이승만·박정희·김영삼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찾았다. 사진=나경원 전 의원 페이스북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16일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을 찾아 이승만·박정희·김영삼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찾았다. 사진=나경원 전 의원 페이스북




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16일 사실상 당대표 선거 출마 의사를 밝히고 전당대회 모드에 돌입했다. 나 전 의원은 김기현 의원을 돕는 친윤계의 ‘배신자’ 프레임을 거부하는 한편 윤핵관들에게 “진윤”이라고 역공하며 여론전에 들어갔다. 안철수 의원은 친윤계 각을 세우고 나 전 의원을 감싸면서 양측이 연대하려는 기류도 포착된다.



박종희 전 의원은 이날 라디오(CBS) 인터뷰에서 나 전 의원의 출마와 관련해 “며칠 사이에 행보라든가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보면 출마 의지는 명확해 보이지 않느냐”고 밝혔다. 3·8 전당대회 출마 의사를 분명히 한 것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귀국하는 21일 이후 출마 선언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전 의원은 나 전 의원과 함께 당권 로드맵을 준비하고 있다.

선거 출마 결심을 굳힌 듯한 발언도 직접 내놓았다. 나 전 의원은 이날 서울 국립현충원의 이승만·박정희·김영삼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찾은 뒤 페이스북에서 “앞으로도 보수의 가치를 지키고, 자랑스러운 보수를 만들기 위한 저의 길은 계속 될 것”이라며 “우리는 오늘만 살 수도 없고 내일만 기다릴 수도 없다. 영원히 사는 정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당원들을 겨냥해 “한 번도 당을 떠나본 적 없는 보수의 원류”라며 “좌파가 가장 집요하게 물어 뜨는 정치인이 된 것도 영광스러운 상처”라고 내세웠다.



나 전 의원 측은 “제2 유승민” “반윤 우두머리”로 몰아세우는 윤핵관을 향해선 “진윤”이라고 응수했다. 2016년 박근혜 정부 당시의 ‘진박 감별사’에서 따온 말로 윤핵관을 ‘제2 진박감별사’로 낙인을 찍으려는 의도다.

관련기사



‘반윤핵관’ 노선을 구축해 안철수 의원과 연대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박 전 의원은 ‘결선투표에서 ‘김기현 대 다른 의원’이 맞붙는 형태로 구도가 짜일 수 있느냐’는 질의에 “그럴 가능성이 많다”고 긍정했다. 안철수 의원은 한 방송(YTN) 인터뷰에서 전일 ‘특정인을 향한 백테클이 난무한다’의 특정인은 나 전 의원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재차 밝혔고, 연대 가능성도 열어뒀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이 16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3 부산 출향인사 초청 신년인사회 참석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이 16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3 부산 출향인사 초청 신년인사회 참석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의원은 경쟁자들이 괜한 트집 잡기를 한다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과 서로 간에 교감을 이룰 수 있는 자신이 없는 사람들이 공연히 트집잡기를 하면서 윤심후보, 윤심팔이라는 터무니없는 말을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당권 주자인 자신이 장제원 의원의 그늘에 가려지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분위기도 관찰된다. 김 의원은 기자들에게 “김장 연대라는 말은 이미 벌써 철이 지난 것이다. 그런 용어는 안 써주셨으면 한다”고 요청했다.

정진석 비대위원장은 과열 경쟁 진화에 나섰다. 그는 “같은 당 동지라고 하기엔 너무 날이 서 있다”며 “(차기 총선은) 당 대표 얼굴로 치르는 선거가 아니고 윤석열 대통령 얼굴과 성과로 치러질 선거다. 모두 자중자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당의 갈등, 반목, 분란 조장 행위에 대해선 제재를 가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