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쌍방울 김성태 조사 착수, 말 맞추기 여부까지 철저 규명하라


검찰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변호사비 대납 의혹 등을 받고 있는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에 대한 조사에 돌입했다. 김 전 회장은 8개월간의 도피 끝에 태국에서 검거돼 17일 국내로 압송됐다. 쌍방울 실소유주인 김 전 회장은 배임과 횡령 외에도 불법 대북 송금 등 각종 의혹의 중심에 서 있다.

검찰은 쌍방울이 발행한 전환사채(CB) 100억 원어치를 사들인 쌍방울 계열사가 이 대표의 선거법 위반 사건을 맡았던 변호사에게 현금과 CB 등 23억 원가량을 줬다고 의심하고 있다. 아직 구체적인 정황은 드러나지 않았지만 이 대표의 변호인 출신 등이 쌍방울 계열사 사외이사를 지낸 적이 있어 의구심을 키웠다. 불법 대북 송금 의혹은 북한으로부터 사업권 등을 받은 쌍방울이 그 대가로 2018~2019년 임직원을 동원해 640만 달러를 중국으로 밀반출해 북한 인사에게 건넸다는 것이다. 이 대표가 경기지사 재직 시절 함께 일했던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쌍방울의 대북 접촉을 돕는 대가로 회사 법인카드 등 억대 금품을 받은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하지만 김 전 회장은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국내 입국 직후 이 대표와의 관계 등을 묻는 질문에 “모른다”면서 “변호사비가 이 대표에게 흘러간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김 전 회장은 15일 KBS와의 인터뷰에서도 “이 대표를 모르고 만난 적도 없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해외 도피 중범죄자들이 귀국 직전 언론사를 선택해 관련자들에게 말 맞추기 신호를 보내는 것은 자주 있던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쌍방울의 전 비서실장 A 씨는 17일 재판에서 “이 대표와 김 전 회장이 가까운 관계였느냐”는 질문에 “네”라고 답변해 주목된다. 검찰은 철저한 수사로 제기된 의혹들과 말 맞추기 여부까지 낱낱이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

관련기사



대장동·위례 개발 의혹 사건 피의자로 27일 검찰 출두를 통보받은 이 대표는 민간 업자에 과도하게 이익을 몰아줘 대장동 개발에서만 성남시에 1827억 원의 손해를 끼친 혐의를 받고 있다. 이 대표는 민주당을 방탄 도구로 활용하는 것을 멈추고 당당히 조사에 응해 진실을 밝혀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