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시, 영흥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 전략 세운다

영흥화력 폐쇄 추진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인천시 옹진군 영흥화력발전소 전경. 연합뉴스인천시 옹진군 영흥화력발전소 전경. 연합뉴스




인천시가 민선 8기 공약인 영흥 석탄화력발전소 1·2호기를 오는 2030년 폐쇄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나섰다.



인천시는 18일 옹진군 영흥면 주민과 시민·환경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영흥화력 폐쇄 추진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시는 오는 6월까지 진행하는 이번 용역에서 영흥화력 폐쇄에 따른 피해대상과 영향을 분석하고 지원책과 지역산업 전환모델 등을 연구할 예정이다.

피해가 우려되는 대상들은 변화를 사전에 인지해 피해를 예방하고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설명회와 설문조사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영흥화력 조기 폐쇄를 위한 논리도 보완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문제 대응을 위해 영흥화력 1·2호기를 준공 30년째인 2034년께 전면 폐쇄하고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영흥화력 3·4호기는 2038년에, 5·6호기는 2044년에 폐쇄된다.

시는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영흥화력 1·2호기의 폐쇄 시기를 2030년으로 앞당긴다는 민선 8기 공약에 따라 지난해 산업부와 환경부에 관련 건의서 제출하는 등 다각도로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이달 발표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이 같은 조기 폐쇄 건의가 반영되지 않았다.

시는 이에 따라 시민·환경단체와 공동 대응해 조기 폐쇄를 지속해서 건의할 계획이다.

지역 시민단체들은 영흥화력 1∼6호기 모두 2030년에 조기 폐쇄할 것을 요구해왔다.

인천시 관계자는 "10차 전력기본계획에 영흥화력 조기 폐쇄가 반영되지 않아 매우 안타깝다"며 "이번 용역에서는 인천만이 아닌 수도권 차원에서 영흥화력 조기 폐쇄를 요구할 수 있는 논리를 다듬어 사회적 공감대를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인천=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