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가계·기업 고금리 부담 덜게 은행권 선제적으로 나서달라"

이복현 금감원장, 은행장들과 간담

만기연장·상환유예·컨설팅 등 주문

이복현(왼쪽 열 번째) 금융감독원장과 17개 시중은행장들이 서울 은행회관에서 간담회를 진행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우경(왼쪽부터) 광주은행 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 부행장, 백종일 전북은행장, 황병우 대구은행장, 박우혁 제주은행장, 유명순 씨티은행장, 이석용 농협은행장, 강신숙 수협은행장, 이원덕 우리은행장, 이 원장, 박종복 SC제일은행장,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이재근 국민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김성태 기업은행장, 안감찬 부산은행장, 이근환 산업은행 부행장, 최홍영 경남은행장. 오승현 기자이복현(왼쪽 열 번째) 금융감독원장과 17개 시중은행장들이 서울 은행회관에서 간담회를 진행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우경(왼쪽부터) 광주은행 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 부행장, 백종일 전북은행장, 황병우 대구은행장, 박우혁 제주은행장, 유명순 씨티은행장, 이석용 농협은행장, 강신숙 수협은행장, 이원덕 우리은행장, 이 원장, 박종복 SC제일은행장,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이재근 국민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김성태 기업은행장, 안감찬 부산은행장, 이근환 산업은행 부행장, 최홍영 경남은행장. 오승현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고금리로 인한 가계와 기업의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은행권의 지원을 당부하고 가계 부실 확대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 원장은 1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에서 “실물경제가 과도하게 위축되지 않도록 은행은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바탕으로 자금 중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며 “생존 가능한 많은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만기 연장 및 상환 유예, 금리 인하, 경영 컨설팅 등 맞춤형 자체 지원 프로그램을 실효성 있게 운영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이 고금리 부담으로 부실화되지 않도록 기업의 상황에 맞는 금리 지원 프로그램도 적극 마련해 운영해달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이 원장은 가계부채의 연착륙을 위한 노력과 함께 개인의 금리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상환 능력 기반의 여신 심사 관행을 정착시키고 분할 상환 대출 확대, 변동금리 대출 비중 축소 등 대출 구조 개선에 적극적으로 노력해달라”며 “부실이 우려되는 차주에 대해서는 선제 채무 상담 및 지원을 통해 부실로 이어지지 않도록 프리워크아웃 등 신용회복지원 제도를 실효성 있게 운영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자금시장 안정화를 위한 은행권의 협조를 구하는 한편 은행권의 내부통제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은행 경영진이 강력한 의지를 갖고 금융 사고 예방을 위해 내부통제 강화에 신경 써달라”면서 “전산 및 보안 사고 예방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으므로 정보기술(IT) 부문 내부통제 강화에도 노력해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은행장 간담회에는 이재근 국민은행장, 이원덕 우리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이석용 농협은행장, 김성태 기업은행장, 강신숙 수협은행장, 황병우 대구은행장, 백종일 전북은행장 등 17개 은행장이 참석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