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미래에셋운용, 印 자산 100배 뛰었다

15년 만에 21조로 '폭풍 성장'

자산관리 등 현지화 전략 결실

박현주(가운데) 미래에셋그룹 회장과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 관계자들이 인도 진출 15주년을 맞이하여 뭄바이 현지에서 기념 행사를 개최했다. 사진 제공=미래에셋자산운용박현주(가운데) 미래에셋그룹 회장과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 관계자들이 인도 진출 15주년을 맞이하여 뭄바이 현지에서 기념 행사를 개최했다. 사진 제공=미래에셋자산운용




출범 15년 만에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의 운용 자산이 100배 증가했다.

18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22년 말 기준 인도법인 수탁액이 약 21조 원이라고 밝혔다. 설립 당시 2000억 원에서 100배 이상 늘어났다. 2020년 수탁액 10조 원을 돌파한 데 이어 2년 만에 21조 원까지 놀라운 속도로 성장했다. 인도법인의 리테일 계좌 수는 2020년 280만 개에서 2021년 470만 개, 2022년 말 550만 개로 급성장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인도 내 유일한 독립 외국 자본 운용사다. 2008년 1호 펀드를 출시하며 인도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금융위기 이후 대부분의 글로벌 자산운용사가 인도에서 철수하거나 합작법인으로 전환했지만 미래에셋은 인도의 성장성을 믿고 적극적인 투자를 지속해왔다.

관련기사



철저한 현지화 전략 아래 인도 내 9위 운용사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됐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은 신흥국을 대표하는 인도 시장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고 다양한 비즈니스를 펼쳐왔다. 2019년에는 인도 금융 당국의 승인을 받아 지주사 체제로 전환, 펀드 운용뿐만 아니라 부동산 대출과 벤처캐피털, 자산관리 서비스까지 사업 범위를 확장했다. 미래에셋그룹은 현재 인도 내에서 총 7개 계열사를 거느린 종합 금융회사로 도약했다.

인도에서 가장 각광 받는 분야인 물류센터에도 투자하는 등 폭넓은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인도에 진출한 외국계 자산운용사 현지법인이 물류 사업에 직접 투자한 것은 미래에셋운용이 처음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은 지난해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 지점을 설립, 국내 운용사 최초로 중동에 진출했다. 두바이는 지리적으로 인도와 가깝고 전체 인구 중 인도인 비중이 약 35%에 달해 인도 현지 펀드에 대한 투자 수요가 크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 관계자는 “자본금 500억 원으로 뛰어든 후 인도 시장의 잠재력을 보고 꿋꿋하게 버텨왔다”며 “미래를 내다보고 15년간 지켜낸 뚝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미래에셋만의 비즈니스를 펼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