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종료와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이 물가 측면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근 세계적인 달러화 강세 기조 역시 한국의 수출에 악재가 될 것이란 분석도 제기됐다.
김웅 한국은행 조사국장은 1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열린 제1회 한국은행(BOK)-대한상의(KCCI) 세미나에서 글로벌 공급망의 단기 주요 위기 요인으로 중국의 리오프닝을 꼽았다. 펜트업(억눌렸던 소비가 폭발하는 현상) 수요 확대로 물가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것이다. 김 국장은 리오프닝이 본격화할 경우 글로벌 경기를 진작하는 효과는 크겠지만 주요국 물가 측면에서는 공급망 차질 완화라는 하방 요인과 원자재 수요 확대라는 상방 요인이 함께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공급망 정상화는 물가를 내리는 요인, 원자재 수요가 늘어나는 건 물가를 올리는 요인이란 것이다.
김 국장은 또 미중 갈등과 지정학적 긴장 등에 따른 분절화를 중기적 관점의 위험 요인으로 지목했다. 특히 한국은 핵심품목 교역이 미국과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주요 원자재 수입의존도도 높아 분절화가 심화할 경우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진단이었다. 김 국장은 “최근 분절화는 경제뿐 아니라 외교·안보 요인이 맞물린 만큼 민관이 협력해 공동대응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달러화 강세 흐름이 한국의 수출 실적을 저해할 것이란 의견도 나왔다. 통상 달러화 강세, 원화 약세 상태에서는 원화 표시 제품 가격이 내려가 수출에 보탬이 되지만 현 상황은 그 반대라는 분석이었다. 신현송 BIS(국제결제은행) 경제보좌관 겸 조사국장은 “한국 상품 수출 증가율은 최근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며 “달러화 강세가 한국의 상대적 무역 경쟁력을 높여 수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지만 실제로 강달러는 한국의 수출을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공급망에 있는 한국 기업들은 무역 자금을 대부분 달러화로 조달하므로 자금 조달 비용은 원달러 환율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달러화가 강해지는 시기는 미국 이외 기업들의 신용 여건이 어려워지는 기간과 밀접하게 연관된다”고 설명했다.
저탄소 경제 전환을 위해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시됐다. 연정인 대한상의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 연구위원은 “한국의 경우 소득수준 대비 탄소 배출량이 주요국 평균보다 높은 구조적 특징으로 경제성장과 저탄소 경제전환을 동시에 달성하기는 어려움이 있다”며 “규제보다는 시장에서의 보상과 재정적 인센티브를 강화해 친환경 혁신 역량을 새로운 생산방식과 신산업으로 실현하는 전략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를 비롯해 기업, 학계 등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 총재가 직접 사회자로 나서 참석자들의 질의응답을 받는 시간도 가졌다. 미중 무역갈등, 외환 변동성, 공급망 이슈 등 다양한 주제로 질문이 이어졌다. 대한상의와 한국은행은 공동세미나를 매년 상·하반기 1회씩 정례화해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