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아산병원 간호사 사건' 너무 의식했나…학회 "뇌경색 대책 빠졌다"

대한뇌졸중학회, 정부 '필수의료 지원 대책' 관련 성명

"뇌졸중 80% 차지하는 뇌경색 관련 지원책 부완 필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 어린이병원 회의실에서 필수의료 지원대책 현장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 어린이병원 회의실에서 필수의료 지원대책 현장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의료계와 함께 필수의료 강화에 팔을 걷어붙인 데는 작년 8월 서울아산병원 간호사가 근무 중 뇌출혈로 쓰러져 숨진 사건이 가장 큰 기폭제였다. 실제 지난달 31일 발표된 보건복지부의 '필수의료 지원 대책'을 살펴보면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의 신속한 치료를 위한 전국 단위의 네트워크 구축이 상당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일선 진료현장에서는 이번 대책이 수술을 요하는 뇌출혈 치료에 치우쳐 있어, 전체 뇌졸중의 80%를 차지하는 뇌경색 치료 관련 대책을 보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한뇌졸중학회는 1일 성명서를 통해 "중앙응급의료센터를 기반으로 심뇌혈관질환의 필수 진료를 제공해 최종 치료를 책임지는 형태로 응급 이송체계를 개편하겠다는 정부 대책은 필요한 부분"이라면서도 "급성 뇌졸중 환자 치료 대책의 경우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번에 정부가 마련한 필수의료 종합대책에는 △중증 응급의료센터 확충 및 질환별 전문센터 지정 △골든타임 내 고난도 수술이 가능하도록 권역심뇌혈관센터를 전문치료 중심으로 개편 △병원 간 순환당직제 도입 △응급의료정보시스템 강화를 통한 이송체계 개편 등이 포함됐다.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골든타임 이내에 중증 응급질환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응급수술과 관련된 대책이 주로 포함되어 있을 뿐, 골든타임 내 치료가 중요한 뇌경색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책은 없다는 게 학회의 지적이다.

전국 급성기 뇌졸중 진료병원 200여 곳을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와 연계하고, 심뇌혈관치료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권역심뇌혈관센터를 확충하는 한편, 권역센터의 부담을 덜어줄 지역센터를 설치하는 등의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봤다.

뇌경색은 골든타임이 중요한 대표 질환이다. 3시간 안에 혈전(피가 응고된 덩어리) 용해제를 투여하거나 시술에 들어가야 뇌세포 괴사를 막을 수 있다. 골든타임 이내에 막힌 뇌혈관을 뚫어주지 않으면 환자가 평생 심각한 후유증을 안고 살아야 하거나 사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학회가 뇌졸중등록사업자료를 확인한 결과 정맥 내 혈전 용해술이 필요한 환자의 18%, 동맥 내 혈전 제거술이 필요한 환자의 36%만이 적절한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회가 급성 뇌경색 환자가 전국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권역심뇌혈관센터를 확충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이경복 대한뇌졸중학회 정책이사(순천향대의대 신경과 교수)는 “권역심뇌혈관센터가 부족한 상황에서 중증 응급의료센터가 중증 뇌졸중 환자의 최종 치료를 담당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며 "중증 응급의료센터와 권역심뇌혈관센터의 확충이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뇌경색 환자가 골든타임 이내에 혈전용해술을 받을 수 있으려면 권역심뇌혈관센터의 기능도 한층 강화돼야 한다"며 “효과적인 뇌졸중 안전망 구축을 위해서는 권역심뇌혈관센터를 근간으로 한 대책과 급성 뇌경색 치료 방안도 함께 고려해 달라"고 덧붙였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