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호남 지역 가뭄에…영산강·섬진강 댐 저수량 평년 57%

환경부, 전국 8곳 댐 가뭄 단계 관리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지난달 5일 전남 광양시 수어댐을 방문, 남부지방의 댐 가뭄 상황 및 대책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지난달 5일 전남 광양시 수어댐을 방문, 남부지방의 댐 가뭄 상황 및 대책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호남 지역의 영산강·섬진강 권역 댐 저수량이 예년의 5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6일 소관 다목적댐 20곳과 용수댐 14곳 중 8곳의 댐을 가뭄 단계로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중 섬진강댐 등 영산강·섬진강 권역 4개 댐은 가뭄 '심각' 단계다.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전국 다목적댐 20곳의 합계 저수량은 67억1000톤으로 예년의 99% 수준이다. 하지만 한강 권역(평년의 121%)을 제외하고는 평년에 미치지 못했다. 100%를 채우지 못했다. 금강 권역(3곳)은 94%, 낙동강 권역(10곳)은 82%였고 영산강·섬진강 권역(4곳)은 저수량이 평년의 57%에 그쳤다.

관련기사



이는 지난해 가뭄 때문이다. 금강 권역의 지난해 강수량은 평년의 80%(997㎜)였고 낙동강 권역과 영산강·섬진강 권역의 강수량은 각각 평년의 70%(889㎜)와 68%(954㎜)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영산강·섬진강 권역의 섬진강댐 주암댐 등 다목적댐 2곳, 수어댐 평림댐 등 용수댐 2곳은 현재 가뭄 '심각' 단계다. 이날 기준 주암댐과 수어댐은 225일째, 평림댐은 233일째, 섬진강댐은 88일째 가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환경부는 가뭄 상황에 따라 다목적댐은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 4단계로, 용수댐은 관심, 주의, 심각 등 3단계로 나눠 대응한다.

낙동강 권역 역시 강수 부족으로 일부 댐이 가뭄 단계에 돌입했다. 다목적댐인 합천댐은 지난해 11월부터 가뭄이 시작돼 '주의' 단계다. 다목적댐인 안동댐 임하댐과 용수댐인 영천댐은 지난달부터 다시 가뭄 '관심' 단계에 진입했다.

앞으로도 충분한 비가 내리지 않으면 현재 관리 중인 8개 댐의 가뭄 단계가 격상되고, 낙동강 권역의 운문댐과 금강 권역 보령댐이 3월 중 가뭄 관심단계로 신규 진입할 수 있다. 낙동강 권역 밀양댐과 금강 권역 대청댐 용담댐 등도 5월쯤 가뭄 관심단계로 진입할 위험이 있다. 손옥주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올해 홍수기 전까지 남부지방 가뭄 대응에 총력을 다해 안정적인 용수 공급이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