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尹, 공무원과의 대화 "노조 채용장사, 산업현장 불법 놔두면 그게 국가냐"

"폭력·협박 현장 정상화 못하면 제가 세금 받을 자격 없어"

"기업은 국력 집합체, 기업인 멀리하면 변화 적응 어려워"

요리법 묻는 질문엔 "5살 때부터 요리에 관심이 많았다"

대통령실이 지난 7일 윤석열 대통령이 세종시에서 32개 부처 및 청 공무원 150여 명이 만나 노동개혁, 기득권 혁파, 공정한 경쟁 등 국정 철학 및 정책 방향에 대해 진솔하게 나눈 대화 내용을 12일 추가로 공개했다./연합뉴스대통령실이 지난 7일 윤석열 대통령이 세종시에서 32개 부처 및 청 공무원 150여 명이 만나 노동개혁, 기득권 혁파, 공정한 경쟁 등 국정 철학 및 정책 방향에 대해 진솔하게 나눈 대화 내용을 12일 추가로 공개했다./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7일 청년 공무원들과 만나 “노동개혁의 여러 분야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분야는 법치”라며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과 산업현장에서의 불법행위 등의 문제를 지적했다.

12일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32개 부처·청에서 150여명이 참여한 공무원과의 대화에서 "제가 폭력과 협박, 공갈이 난무하는 산업현장을 정상화하지 못하면 국민께 세금 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한 말을 보도자료를 통해 전했다.



윤 대통령은 "기득권과 타협하면 바꿀 수 있는 것이 없다"며 개혁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공무원들을 향해 "국민들께서 더욱 잘 살게 하려면 카르텔과 지대추구 행위를 규제하고 해체할 용기를 가져야 한다"며 "나라의 발전을 가로막는 부당한 기득권 체제에 잘 대처해 달라"고 주문했다.

관련기사



특히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등을 거론하며 "같은 근로자 간에도 임금이 몇 배나 차이가 나는 사회는 정상적인 사회가 아니다"라며 "더 공평하고 정의로운 시스템으로 바꿔나가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윤 대통령은 "산업현장에 노조 간부의 자녀가 채용되고, 남은 자리로 채용 장사를 하는 불법행위를 정부가 방치하면 민간 경영자가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이라며 "산업현장에서 폭력과 협박에 터를 잡은 불법을 놔두면 그게 정부고, 국가냐"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해외 순방에 대한 소회를 묻는 질문에 "우리나라가 반도체, 조선, 자동차 등 산업에서 세계적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 대우를 받을 수 있었다"며 "기업은 결국 국력의 집합체"라고 말했다. 기업에 대해서는 "공무원이 기업의 손익 계산을 볼 수 있어야 재정을 어떻게 투입할지 선택할 수 있다"며 "기업인을 멀리만 해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환경에 적응하기 어렵다"고 했다.

현장에서 마약 단속에 관련 얘기가 나오자 윤 대통령은 "조직폭력배보다 더한 사람들이 마약 유통에 관여하기 때문에 희생정신이 없으면 마약사범 검거는 어렵다"며 “행안부 조직국, 기재부 예산실은 마약 수사하는 분들의 어려운 점을 잘 살펴 도와달라”라고 주문했다.

요리법을 묻는 질문에는 "어릴 적 스테인리스 프라이팬으로 계란 프라이를 하면 들러붙곤 했다"며 "5살 때 프라이팬에 기름을 둘러 연탄 풍로에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태우지 않으려고 애썼던 것을 생각해보니 요리에 관심이 많았던 것 같다"고 답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당시 윤 대통령과 공무원들의 대화를 이날 '유튜브 쇼츠' 형태로 추가 공개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