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강진 덮친 튀르키예 하타이주서 ‘사상자 0명’ 도시…이유는

에르진市선 건물 한 채도 피해 없어

"불법건축 절대 용납 안한 결단 덕분"

사진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곳이 튀르키예의 에르진사진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곳이 튀르키예의 에르진




최근 강한 지진이 발생한 튀르키예 남동부의 한 도시에서 건물이 한 채도 무너지지 않아 단 한 명의 사상자도 나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비즈니스터키투데이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튀르키예 하타이주에 있는 인구 4만2000명 규모 도시 에르진에서는 인명 피해와 건물 붕괴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하타이주는 이번 지진으로 피해를 본 10개 주 중에서 가장 피해가 큰 곳이다. 2만 명이 넘는 튀르키예 지진 사망자 중 하타이주에서만 3000명 이상 숨졌다. 하타이주에서 사상자가 나오지 않은 도시는 에르진이 유일하다.

강진으로부터 주민들을 지킬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불법 건축을 허용하지 않은 에르진 시장의 결단 덕분이었다.

외케스 엘마소글루 에르진 시장은 “우리는 지진으로 목숨을 잃지 않았다. 건물도 무너지지 않아 잔해도 없다”며 “우리는 불법 건축물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그는 “나는 불법 건축을 절대 용납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강한 반발을 사기도 했고 ‘이 나라에 당신 말고는 정직한 사람이 없느냐’는 소리도 많이 들었다”고 했다. 하지만 굴하지 않고 끝까지 불법 건축을 허용하지 않은 결과, 이번 대지진 때 피해가 없었다.

관련기사



엘마소글루 시장은 “건축과 관련 방침은 주민의 안전과 직결된 만큼 정치를 개입시키지 않으려 노력했다”며 “불법 건축 시도를 100% 막을 순 없을지라도 어떤 단계에서는 불법 건축을 차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도 엘마소글루 시장에게 동의했다. 불법 건축을 막는 고강도 건축 규제가 지진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봤다.

지진 전문가 나시 고루르 박사는 “계속되는 강진 속에서도 계속 살기 위해선 내진 설계된 도시 건설이 필요하다. 에르진이 그 예”라며 “엘마소글루 시장이 말한 것처럼 (불법 건축물 통제는) 지진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에르진이 하타이주의 다른 도시에 비해 지진 강도가 낮았다는 분석도 있다. 오칸 튀레스 이스탄불대학 명예 교수는 “에르진 근처에선 단층 움직임이 없다. 30~40㎞ 떨어진 곳에 단층이 있지만 그사이에 아마노스라는 큰 산 덩어리가 있어 진동을 느끼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국 발표 등에 따르면 12일 기준 지난 6일 발생한 대지진으로 인한 사망자는 튀르키예 2만9605명, 시리아 3574명으로 총 3만3179명으로 집계됐다.

튀르키예에서는 방진 규제를 통과한 신축 건물까지 무너지자 부실공사 책임론이 대두되고 있다. 약 880억 리라(약 5조9000억 원)에 달하는 지진세의 사용처가 불분명해 국민들의 분노가 커지고 있다.

튀르키예 정부는 1999년 북서부 이즈미트 대지진 이후 재난 예방과 응급 서비스 개선에 쓰겠다며 지진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번 참사 때 시민들은 “재난 발생 후 첫 12시간 동안 구조팀이 현장에 도착하지 않았다. 내가 낸 세금이 어디에 쓰인 것이냐”고 비판했다.

황민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