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차세대 태양전지 효율·안정성 한층 더 끌어올린다

에너지연, 고효율 차세대 태양전지 구현 위한 자기조립단분자막 기반의 정공 수송 물질 개발

중심원자 치환하는 매우 간단한 공정만으로 효율과 안정성 향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진이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진이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태양전지의 효율·안정성을 한층 더 끌어올리는데 성공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태양광연구단 홍성준 박사 연구진이 자기조립단분자막을 형성하는 페노티아진 물질내 핵심 원소만을 치환하는 매우 간단한 공정으로 효율과 안정성을 높인 새로운 정공수송물질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지금까지 일반구조 대비 역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낮은 효율은 적절한 정공수송물질의 부재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는데 이번 자기조립단분자막 기반의 정공수송물질 개발을 통해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연구진은 페노티아진 head 그룹 중심원자인 황원자를 주기율표 상의 같은 족에 속해 비슷한 화학적·물리적 성질을 가진 산소 또는 셀레늄으로 치환된 새로운 분자를 설계해 역구조의 페로브스카이트와 유기 태양전지의 정공수송층에 적용했다.



자기조립단분자막을 형성하는 유기분자는 크게 기판과의 화학적 결합을 수행하는 앵커링(anchoring) 그룹과 단분자막의 기능성을 부여하는 head(or Functional) 그룹, 그리고 이 둘의 작용기를 연결해 주는 linker(or spacer)로 구성된다.

관련기사



세 가지의 새로운 자기조립단분자막 정공수송물질이 적용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22.73%(셀레늄), 21.63%(황), 21.02%(산소)의 높은 효율을 보였다. 또한 유기 태양전지의 경우에는 17.91%의(셀레늄 적용/상용 PEDOT:SSS 효율 대비 111%) 높은 태양전지 효율을 달성했다.

이는 자기조립단분자막 형성 시 기판의 일함수(물질 내에 있는 전자 하나를 밖으로 끌어내는 데 필요한 최소의 일 또는 에너지)를 낮춰 광흡수층에서 기판으로 정공전달에 사용되는 에너지 손실을 크게 줄여주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가장 높은 효율과 안정성을 보인 셀레늄은 높은 분극특성을 가져 광흡수층과 강한 상호작용으로 계면 결함을 감소시키고 계면에서의 비방사재결합 손실을 방지해 안정성도 크게 향상시켰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경우 500시간 연속 효율 측정 후 초기 효율 대비 98%의 성능을 유지했고 유기 태양전지의 경우 상용 PEDOT:PSS 대비 2배 이상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됐다.

교신저자인 홍성준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역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유기태양전지의 효율과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독자적인 자기조립단분자막 기반 정공수송물질의 개발이라는 점에 있어 의미가 있다”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차세대 태양전지 및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상부셀로 하는 고효율 다중접합 태양전지의 상용화에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소재 분야 최우수 국제학술지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IF 19.924)’에 게재됐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