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난방비·전기료 줄인상…더 추운 노인들

[준비 안된 노인 1000만 시대]

◆ 얼어붙은 노인 체감경기

공공요금이 물가상승세 이끌어

60대 체감경제고통지수 '최악'

노인연령 조정땐 반발 불가피

서울 동작노인회관에서 어르신들이 시간을 보내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서울 동작노인회관에서 어르신들이 시간을 보내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노인들이 다른 세대보다 고물가와 취업난에 더 취약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전기료와 대중교통비 등 공공요금 인상으로 고물가가 지속되고 있는 올해 노인 빈곤이 더 악화할 공산이 크다. 이런 상황에 섣불리 노인 연령 조정에 나설 경우 노인들의 생활고가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관련기사



14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60대의 체감경제고통지수(지난해 상반기 기준)는 16.1로 집계됐다. 이는 30대(14.4)와 40대(12.5), 50대(13.3)보다 더 크다.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연령대별 체감 실업률과 물가 상승률을 합한 수치로 높을수록 해당 세대가 체감하는 경기가 좋지 않다는 뜻이다.

올해 노인들이 겪는 체감 경기는 더 얼어붙을 것으로 보인다. 전기요금·대중교통비 등 체감도가 높은 공공요금이 물가 상승세를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 1월 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5.2%로 직전 달인 지난해 12월(5.0%)보다 상승 폭이 커졌는데 전기요금이 29.5% 급등한 영향이 주요했다. 한동안 공공요금발(發) 물가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는 이유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3.2%에서 3.5%로 올려 잡았다.

이 때문에 올해 노인 연령을 상향할 경우 사회 안전망이 허술한 상황에서 노인 빈곤은 더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 노인 연령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등의 수급 연령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런 공적이전소득이 노인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 수준으로 60%대의 일본·호주 등과 비교하면 매우 낮다. 이미 노인 빈곤율이 39.97%(2020년 기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3.5%, 2019년)보다 높은데 노인 연령 상한 조정으로 공적이전소득이 더 줄게 되면 빈곤율이 한층 악화될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세종=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