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피크시간 전기사용 줄이면 보조금"…국민DR 2만가구 수혜 정조준

[정부 수요반응시장 활성화 대책]

5년간 3.7조 투입●효율 제고

불필요한 발전소 건설 등 줄여

전력 계통망 안정성 문제 해결

플러스DR로 출력제한 횟수 ↓

지능형 검침 등 신기술 도입도





정부가 전력 수요 분산을 통한 전력 계통망 안정화를 위해 ‘수요 반응(DR·Demand Response) 시장’ 활성화에 나선다. DR 시장은 전력 수요가 높거나 전력 예비력이 부족할 때 기업이나 가계가 전력 사용량을 줄이면 감축분만큼 보상금을 지급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DR 시장이 활성화할 경우 불필요한 발전소 건설을 줄일 수 있어 보상금 지급분을 감안해도 이익이 훨씬 크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정부는 또 전력 발전 효율 제고 및 관련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 분야에 향후 5년간 3조 7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신재생과 같은 분산형 에너지 설비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만큼 수요 조절과 첨단 기술 접목으로 전력 계통망 안정성 문제를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본지 2022년 7월 20일자 8면 참조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3차 지능형 전력망 기본 계획’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해당 계획은 관련 법률에 의거해 5년마다 수립해야 하는 법정 계획이다.

관련기사



정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2027년까지 현재 1만 1000여 가구 수준인 ‘국민DR 고객’을 2만여 가구까지 늘린다는 목표다. 현재 국내 발전소 건설 계획은 한여름이나 한겨울철 최대 전력 수요 예상치를 바탕으로 수립돼 최대 전력 수요를 낮추면 발전소 추가 건설에 따른 예산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정부는 국민DR 일일 발령 한도를 기존 1회에서 2회로 늘리고 발령 요건도 완화해 전력 수급 우려 시 대응력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전력 생산량이 전력 계통망 수용 범위를 넘어설 경우 각 가계나 기업의 전력 소비를 늘려 계통망 부담을 낮추는 ‘플러스 DR’의 시장 확대에 나선다. 일부 지역에서는 태양광 등 신재생 설비의 전력 생산량이 많아질 경우 계통망 안정을 위해 이들 발전을 강제 셧다운시키는 ‘출력 제한’이 발동 중이다. 실제 신재생 보급이 빠르게 늘고 있는 제주 지역의 출력 제한 횟수는 2021년 65회에서 지난해 132회로 1년 새 갑절 이상 늘었다. 정부는 현재 175㎿인 플러스DR 규모를 2027년까지 중형 원전 1개 규모인 1000㎿로 확대해 출력 제한 발동 횟수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또 2025년까지 잉여 전력 연계 기술 개발에 290억 원을 투자하는 한편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개발에는 2026년까지 296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전기차 폐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 활용하는 기술 개발에 나서는 한편 가상화 모델을 적용해 분산에너지 관리를 한층 용이하도록 하는 ‘한국형 통합발전소(VPP)’ 도입에도 나선다.

신기술 도입도 확대한다. 양방향 통신을 활용한 ‘지능형 검침인프라(AMI)’ 보급을 늘려 에너지 절약을 이끌어내는 한편 AMI를 활용한 관련 빅데이터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소규모로 산재돼 전력 계통망 접속이 쉽지 않은 분산에너지의 단점 해결을 위해 ‘그리드 포밍’ 기술 개발에도 착수키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탄소 중립에 따른 전기화 추세 외에 전기차 및 데이터 센터 증가에 따라 국내 전력 수요는 우상향하는 반면 발전소나 송전 설비 등은 수용성 문제 등으로 추가 구축이 쉽지 않다”며 “지능형 전력망은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통해 수요 관리가 가능한 데다 재생에너지의 발전 변동성에 따른 계통망 불안 문제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는 만큼 향후 전력 수급 이슈에 대한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세종=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