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물로 씻어 20년 사용"…삼성 '공기정화 필터' 네이처도 주목

SAIT, 광촉매 세계 최초로 적용

교체 번거로움 없고 비용 절감

연구결과 英 네이처 실리기도

세계 최초 광촉매 적용 ‘재사용 가능’ 공기 정화 필터 기술을 개발한 양동식(왼쪽부터), 이현철, 권혁재, 구민석 삼성전자 SAIT 연구원. 사진 제공=삼성전자세계 최초 광촉매 적용 ‘재사용 가능’ 공기 정화 필터 기술을 개발한 양동식(왼쪽부터), 이현철, 권혁재, 구민석 삼성전자 SAIT 연구원. 사진 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005930) SAIT(옛 삼성전자 종합기술원)가 하나의 필터로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를 동시에 제거하고 간단한 물 세척만으로 최장 20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공기 정화 필터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기술은 공기 정화 시스템 구성 시 미세먼지와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필터를 각각 장착했던 불편함을 해소한 새 기술이다. 필터를 재사용할 수 없어 6개월이나 1년에 한 번씩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해결했다.



삼성전자 SAIT 연구진은 세계 최초로 아산화동·이산화타이타늄 등 빛을 이용하는 광촉매를 적용하면서 기존 필터가 가진 문제들을 풀었다. 새 필터는 세라믹 소재 공기 정화 필터 입구에 무기물 소재 막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한다. 출구 통로에도 광촉매가 코팅돼 있어 유해가스를 없앤다.

관련기사



먼지 포집 용량도 기존 고성능 헤파필터보다 4배가량 향상됐다. 아산화동·이산화타이타늄 등 방수 특성이 있는 소재가 적용돼 물로 세척해도 성능이 유지된다. 물 세척을 통해 10번 재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약 20년 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기존 헤파 필터 대비 수명이 40배가량 늘어난 셈이다.

미세먼지와 유해가스 필터의 이중구조를 단일화한 만큼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공기 정화 기기·설비의 공간 효율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필터 교체 비용과 필터 폐기물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 기술을 적용한 시제품을 제작해 반도체 사업장 내 건물과 버스터미널·지하주차장 등의 공조 시설에 적용해 성능을 검증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영국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15일(현지 시간) 게재됐다.

권혁재 삼성전자 SAIT 연구원(교신저자 및 공동 1저자)은 “이번 연구는 필터 제조 업계뿐 아니라 실사용자들의 경험과 요구 사항까지 적극 반영해 시작하게 됐다”며 “앞으로 공기 정화 필터 재생 기술 관련 연구를 확장해 상용화 시기를 앞당길 것”이라고 자신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