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철강 '탈탄소' 동맹…1500억 민간펀드 조성

정부, 포스코·현대제철 등과 MOU

전기로 원료 철스크랩 활용 논의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부와 업계가 철강 생산 시 배출되는 탄소량을 낮추기 위해 1500억 원 규모의 민간 펀드 조성에 나선다. 철강 업계에서는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 및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 등으로 ‘저탄소화’가 최대 화두로 떠오른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포스코·현대제철 등 기업들은 16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JW메리어트호텔에서 철강 생산 저탄소화 추진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철강 생산공정의 저탄소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제고 및 투자·기술 개발 촉진을 위한 정부와 업계 간 협력이 핵심이다.

관련기사



이를 위해 정부와 업계는 2년 전 출범한 ‘그린철강위원회’를 ‘철강생산저탄소얼라이언스(가칭)’로 올 1분기께 개편하기로 했다. 특히 협의 사항 이행을 위해 1500억 원 규모로 조성돼 운용 중인 ‘철강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상생펀드’를 활용하는 한편 펀드 자금이 소진될 경우 1500억 원 규모의 민간 펀드를 별도로 조성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철강 산업의 ‘글로벌 수출 3강’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철스크랩(고철) 산업 생태계 구축 △세계 최초 수소유동환원 기술 개발 △친환경 선박용 고망간강 밸류체인 완성 등을 목표로 제시했다.

정부는 우선 철스크랩의 산업화 및 공급 안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각국은 자국의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기로의 필수 원료인 철스크랩 수출 제한에 나서고 있다. 전기로로 철강을 만들 경우 고로 대비 탄소 배출량을 기존의 25%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하지만 국내는 철스크랩이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폐기물로 취급돼 자원 산업으로 육성하기가 힘들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철스크랩이 폐기물에서 제외되도록 환경부 등과 협의하기로 했다. 올 4월에는 제강사와 철스크랩 공급사로 구성된 ‘철 자원 상생 포럼’도 신설한다.

정부는 또 2050년까지 기존 고로 11기를 탄소 배출이 없는 수소유동환원로 14기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수소유동환원 기초 기술 개발을 2025년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이창양 장관은 “철강 산업이 탄소 다배출 산업에서 친환경 산업으로, 범용재 위주 생산에서 고부가 제품 생산으로 환골탈태해야 한다”고 밝혔다.

세종=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