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전국학력평가 성적 유출' 경기도교육청, 긴급 상황실 구성

도교육청 누리집에 유출 규모 등 고지…"추가 피해 방지 대응책 마련"

15개 시도교육청과 공동 대응 및 업무 협조

경기도교육청 전경. 사진 제공=경기도교육청경기도교육청 전경. 사진 제공=경기도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에 응시한 고2 학생들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가운데 경기도교육청이 긴급 상황실을 구성하고 피해 방지 등 적극적인 대처에 나섰다.



20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 자료 유출 관련 제보를 접수 받은 즉시 경찰에 수사의뢰했다. 이 사건은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에서 담당을 배정하고 관련 기관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도교육청은 자료 유출 관련 사회적관계망 업체와 경찰에 개인정보 자료의 즉시 삭제를 요청했다. 이 사안과 연관된 15개 시도교육청에 피해 상황을 알리고 공동 대응 및 업무 협조를 구하는 한편 개인정보 보호 포털에 개인정보침해 사항을 신고하는 등 후속 조치를 하고 있다.

또 도교육청 누리집에 자료 유출 규모, 경위, 항목 등을 정보 주체에 고지하고 추가 피해 방지를 위한 대책도 마련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긴급 상황실을 구성, 주관부서와 관련 부서가 함께 공동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고, 피해 상황 방지와 구제 절차 등의 방안을 수립해 적극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철저한 진상조사를 위해 경찰 수사에 긴밀히 협조하고, 수사 진행 사항에 대해 도민들께 투명하게 알리겠다"며 "경찰 조사를 바탕으로 개인정보 유출자에게 엄정한 법적 대응을 하고 향후 이와 같은 사안의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전날 새벽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한 네티즌이 도 교육청 서버를 해킹했다는 주장이 담긴 글을 올렸다. 이어 암호화 메신저앱인 텔레그램에는 '2학년 개인성적표 전체'라는 파일이 유포됐다. 이 파일에는 전국연합학력평가에 응시한 전국 15개 시도교육청 고2 학생 30여만 명의 소속 학교와 이름, 성별 등이 포함 돼 있었다. 다만 주민등록번호나 휴대전화 번호 등은 담기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수원=이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