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약재 울금, 간 보호 효과" …자생한방병원 최초로 규명

간세포에 울금처리해 간손상 억제 효과 확인

시르투인1·헴산화효소'의 항산화 효과 촉진

형광염색 결과 울금 농도가 높아질수록 시르투인1(빨간색)의 발현이 증가함에 따라 형광염색이 더욱 선명해졌고, 헴산화효소(초록색) 또한 울금에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증가했다. 사진 제공=자생한방병원형광염색 결과 울금 농도가 높아질수록 시르투인1(빨간색)의 발현이 증가함에 따라 형광염색이 더욱 선명해졌고, 헴산화효소(초록색) 또한 울금에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증가했다. 사진 제공=자생한방병원




한약재 '울금'이 간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기전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규명됐다.



김현성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세포 및 동물실험 결과 울금이 ‘시르투인1’과 ‘헴산화효소’의 항산화 효과를 촉진해 간 세포 보호와 간 독성 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관련기사



울금은 카레 원료로 알려진 강황의 덩이뿌리 부분만을 골라 건조한 한약재다. 손상된 간세포 보호 효능이 뛰어나 간독성 억제 치료에 쓰인다.

연구팀은 쥐에서 분리한 간세포에 울금을 3가지 농도(100·200·400μg/mL)로 나눠 처리한 뒤 고농도 아세트아미노펜으로 간세포 손상을 유도했다. 형광 염색을 진행한 결과 그 결과 아세트아미노펜 처리 후 급격하게 발현이 감소했던 시르투인1이 울금 농도에 비례해 증가했고, 헴산화효소의 발현도 활발해졌다. 울금이 항산화 유전자 및 효소의 발현을 유도해 손상된 간세포의 회복력을 높였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울금의 간 세포 보호 및 간 독성 억제 효과가 시르투인1과 헴산화효소의 발현을 통해 이뤄진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