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위기청소년 지원팀 운영 지자체, 올해 22곳으로 늘어

여가부·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일 사업 설명회

청소년안전망 운영 우수사례·사업 성과 공유

'고위기 청소년 지원 강화 방안' 효과적 이행 논의

정부서울청사 여성가족부. 연합뉴스정부서울청사 여성가족부. 연합뉴스




10세쯤 입국한 다문화가정 자녀 A는 부모의 방임으로 인해 보호시설에서 생활하다 무단 퇴소한 뒤 고시원에서 혼자 살고 있었다. 외부와 단절돼 고립된 채 심한 우울감과 무기력감으로 자해와 자살 생각까지 하는 A를 서울시 강서구 청소년안전망팀이 발견하고 심리상담과 안전한 생활공간을 지원했다.

여성가족부는 이같은 지자체 청소년안전망 운영 우수사례를 소개하며 올해는 경기도 안산시와 전라남도 순천시가 신규로 참여해 총 22곳으로 늘었다고 21일 밝혔다. 지자체가 주도하는 청소년안전망팀 사업은 2020년 9곳으로 운영을 시작했으며, 2021년 14곳, 2022년 20곳으로 늘었다.



청소년안전망팀에는 위기청소년 전담공무원과 민간 전문인력(청소년통합사례관리사)이 배치돼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있다. 이들은 위기청소년 발굴, 지원기관 연계, 지역 위기청소년 실태조사와 정책개발 등의 사업을 추진 중이다.

관련기사



청소년안전망팀을 운영하는 지역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고위기 전담 청소년동반자를 지정해 위기청소년에게 찾아가는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가부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은 오는 22일 오후 2시 온라인으로 '2023년 지자체 청소년안전망 선도사업 설명회'를 열고 청소년안전망 운영 우수사례와 사업 성과를 공유한다. 여가부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고위기 청소년 지원 강화 방안’을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한다.

여가부는 청소년 인구 수, 위기청소년 수, 조직역량 등 지역 현황과 지자체의 수요를 고려해 신규 운영기관을 선정하고 있다. 운영기관으로 선정되면 사업비와 운영비를 국비로 지원받게 된다.

청소년안전망팀을 운영하는 지자체는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 시 가점을 부여받는다. 위기청소년 발굴과 지원에 뛰어난 성과를 보인 사업 담당자 등에게는 여성가족부 장관 표창도 수여한다.

김권영 여가부 청소년정책관은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위기상황 해소를 위해서는 조기발굴과 신속한 맞춤형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청소년안전망팀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